현대차그룹 2030년까지 국내 125조 투자 '역대 최대', AI·SDV·로봇·수소 집중 투자
현대차그룹 2030년까지 국내 125조 투자 '역대 최대', AI·SDV·로봇·수소 집중 투자
현대자동차그룹이 2030년까지 5년 동안 국내에 모두 125조2천억 원을 투자한다고 16일 밝혔다.직전 5년 동안 국내 투자했던 89조1천억 원에 비해 36조1천억 원을 더 투자하는 것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5년 125조2천억 원을 연 평균으로 환산하면 25조400억 원으로, 직전 5년 연평균 투자 17조8천억 원보다 40% 이상 증가하는 것이다.그룹 측은 "대규모 중장기 국내 투자 결정은 그룹의 근원적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차원"이라며 "글로벌 모빌리티 혁신 허브로서 대한민국의 위상 강화, 인공지능(AI)·로봇 산업 육성 및 그린에너지 생태계 발전 등을 통해 국가 경제 활력을 높이는 데도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그룹은 AI, 소프트웨어중심차(SDV), 전동화, 로보틱스, 수소 등 미래 신사업 분야에 50조5천억 원, 기존 모빌리티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R&D)투자에 38조5천억 원, 경상 투자에 36조2천억 원을 투입키로 했다.신사업 투자는 미래 신사업 경쟁력을 높이는 데 활용된다. AI 자율주행, AI 자율제조, AI 로보틱스, 전동화와 SDV, 수소 에너지 등 첨단 분야에서 전략적 투자를 단행한다.AI 자율주행은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AI가 차량 주변을 스스로 인지하고, 실시간으로 판단해 주행하는 기술이다. 그룹은 통합 딥러닝 모델 기반의 '아트리아 AI'라는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자율주행 계열사인 포티투닷, 미국 자율주행 자회사 모셔널과 아트리아 AI를 개발하고 있다.AI, 로봇, 디지털 트윈 기술을 융합해 사람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AI 스스로 공정을 운영 및 최적화하는 미래 AI 자율제조 기술 개발에도 투자를 확대한다.소프트웨어중심차(SDV) 전환에도 속도를 낸다. 2026년 하반기 차량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유기적으로 통합한 중앙집중형 전기전자 아키텍쳐를 적용한 소프트웨어중심차 시험차(페이스카)를 공개하고, 기술 검증을 거쳐 양산차 확대 적용을 추진한다.주행 거리 900㎞ 이상의 주행거리연장형 전기차(EREV) 등 파워트레인과 전기차 라인업 다각화에도 속도를 내기로 했다. 다양한 설계 역량을 고도화해 배터리 상품성과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키기 위한 배터리 기술 내재화 투자도 강화키로 했다.수소 생산, 공급, 저장, 활용 등 가치사슬(밸류체인)의 모든 주기에 걸쳐 수소 사회 조기 실현을 위한 수소 에너지 사업 추진도 속도를 높인다. 차세대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양산과 수소버스·트럭 개발 등으로 글로벌 시장 경쟁력도 높이기로 했다.연구개발 투자는 모빌리티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시장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한 신제품 및 핵심 분야 기술 개발 확보에 투입된다.울산 북구에 위치한 현대자동차 울산 공장 전경. <현대차>그룹은 후륜 기반 하이브리드 시스템 개발에 힘을 쏟고 있으며, 주요 세계 시장별로 현지 소비자 요구와 환경을 반영한 지역 특화 차량과 기술을 남양연구소를 중심으로 개발하고 있다.경상 투자는 미래 제조 환경 변화에 대비하기 위한 국내 생산 설비 효율화, 제조 기술 혁신, 소비자 서비스 거점 확대 등에 사용된다.현대차그룹 글로벌 비즈니스 콤플렉스(GBC)는 서울시 인허가 절차가 완료되면 본격적으로 건설을 시작한다.이번 중장기 투자는 국내 AI·로봇 산업 육성과 그린에너지 생태계 발전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 등 국가 경제 기여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그룹 측은 설명했다.앞으로 5년 동안 AI 기술 고도화를 기반으로 한 로보틱스 등 신사업에 집중적 투자가 이뤄지며, 국내 AI·로봇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AI·로봇 신사업 투자는 AI 인프라 조성, AI 활용 로보틱스 등 첨단 인프라 구축에 초점을 맞춘다.그룹은 최근 엔비디아와 협력 강화 방안을 발표하고, 차량 내 AI, 자율주행, 스마트 팩토리, 로보틱스 등 AI 기술력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AI 모델 학습과 운영에 필요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고전력 'AI 데이터센터' 건립을 추진한다. 피지컬 AI 로봇, 자율주행차 등에서 생성되는 AI 학습 데이터 저장이 가능한 페타바이트(PB)급 데이터 저장소를 확보한다.피지컬 AI란 가상환경뿐 아니라 자율주행, 스마트 팩토리, 로보틱스 등의 실제 환경에서 센서 등 하드웨어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자율적으로 작업 의사를 결정하는 AI 기술을 뜻한다.피지컬 AI 생태계 발전을 위해 '현대차그룹 피지컬 AI 애플리케이션 센터' 설립도 추진한다. AI를 통해 대규모 행동 데이터를 학습한 로봇의 완성도 및 안전성을 검증하고, 실제 산업현장 투입 전 신뢰성을 최종 검증하는 실증센터로 운영된다.피지컬 AI를 활용해 확보한 로봇 기술을 바탕으로 '로봇 완성품 제조 및 파운드리 공장'도 조성한다. 자체적 로봇 제품 생산부터 제조 노하우가 부족한 중소기업 제품을 위탁 생산하는 파운드리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한다.현대자동차그룹 미국 자율주행 자회사 모셔널의 자율주행 차량이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구형 건축물 스피어 인근에 주차돼 있는 모습. <모셔널>기존 자동차 부품 협력사의 로봇 부품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도 지원한다. 자동차 부품 협력사의 로봇 사업 진출을 가속화함으로써, 핵심 부품 국산화, 고부가가치 제품 수출 등을 통한 국내 산업 체계(패러다임) 전환을 유도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그룹 측은 설명했다.신차 투입을 위한 각 지역 생산 거점 고도화, 전기차 전용 공장 신설, 서남권 고분자전해질막(PEM) 수전해 공장 구축 등은 지역 균형발전 촉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고분자전해질막 수전해기는 수소연료전지 역반응을 활용해 물에서 고순도의 청정수소를 생산하는 장치다. 그룹이 국내 기술로 개발해 지난 10월 울산 수소연료전지 신공장 기공식에서 처음 선보였다.서남권에 1기가와트(GW) 규모 고분자전해질막 수전해 공장을 건설하며, 인근에 수소 출하센터와 충전소 등 인프라 구축을 추진한다.국내 수소 경제 조기 전환을 위해 고분자전해질막 수전해기, 수소연료전지 부품 제조 시설을 건립해 수출 산업으로 육성할 계획이라고 그룹 측은 밝혔다.앞으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등과 협의해 AI, 수소, 차량·사물간 통신(V2X) 등 그룹이 보유한 핵심 신기술을 접목시킨 수소 AI 신도시가 조성될 수 있도록 투자를 적극 검토할 계획이라고 그룹은 덧붙였다.신규 공장도 건설한다. 내년 현대차 울산 전기차 전용 공장이 준공되고, 2027년 가동을 목표로 울산 수소연료전지 신공장도 건설 중이다. 기아도 경기도 화성에 목적기반모빌리티(PBV) 전용 공장을 증축하고 있다.현대제철은 충남 당진제철소에 액화천연가스(LNG) 자가발전소 건립을 추진하고 있으며, 고로 효율 향상 투자에도 수천억 원을 투입한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전기차 충전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충전소 등 인프라를 전국에 확대 설치한다.현대자동차 중형 수소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디 올 뉴 넥쏘'. <현대차>국내 완성차 생산 공장의 수출 지역을 다변화하고, 국내 전기차 전용 공장을 글로벌 마더팩토리 및 수출 기지로 육성해 국내 생산 차량의 해외 수출을 대폭 늘릴 것이라고 밝혔다.지난해 218만 대였던 완성차 수출을 2030년 247만 대로 늘리고, 전기차(EV)·하이브리드차(HEV)·수소전기차(FCEV) 등 수출은 지난해 69만 대에서 2030년 176만 대로 2.5배 이상 확대하는 목표를 설정했다.그룹은 국내 자동차 산업 생태계 안정화를 위해 현대차·기아 1차 협력사가 올해 부담하는 미국 자동차 관세를 소급 적용, 전액 지원하는 등 협력사와 상생도 강화한다.현대차·기아와 직접 거래하는 1차 협력사가 현대차그룹 미국 생산법인(HMGMA)에 부품 등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실제 부담하는 관세를 매입 가격에 반영해 협력사 관세를 지원한다. 지원 규모는 앞으로 1차 협력사 수출 실적 집계 후 확정된다.또 1차는 물론 2·3차 협력사까지 상생 프로그램을 확대한다.1차 협력사뿐 아니라 직접 거래가 없는 2·3차 중소 협력사 5천여 개까지를 대상으로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국내 자동차 산업 생태계 안정화를 위한 신규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원 규모를 확대할 예정이다.그룹 관계자는 "역대 최대 규모 중장기 국내 투자와 끊임없는 혁신으로 대한민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며 "협력사 관세 지원과 상생협력 프로그램을 확대해 국내 자동차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도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윤인선 기자

인기기사

BP 채용 공고
삼일회계법인 채용 시 마감
세무사
정규직/4~8년
하만인터내셔널코리아 채용 시 마감
Technical Project Manager
정규직/5년 이상
아워홈 채용 시 마감
용인1물류센터 시설/설비관리 담당자
정규직/2~8년/전문학사 이상
쿠팡 주식회사 채용 시 마감
로켓배송 패션 셀렉션 프로그램 매니저 (사업전략/ 기획)
정규직/8년 이상/학사 이상
한화시스템 D-14
기술 영업 담당자
정규직/5년 이상/학사 이상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일로 39-34 서울숲더스페이스 12층 대표전화 : 1800-6522 팩스 : 070-4015-8658

편집국 : 070-4010-8512 사업본부 : 070-4010-7078

등록번호 : 서울 아 02897 제호 : 비즈니스포스트

등록일: 2013.11.13 발행·편집인 : 강석운 발행일자: 2013년 12월 2일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석운 ISSN : 2636-171X

Copyright ⓒ BUSINESSPOS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