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월20일 미국 미시간주 마샬에 위치한 포드 배터리 공장 내부 건설 현황. <포드> |
[비즈니스포스트] 미국 완성차 기업 포드가 트럼프 정부에서 통과시킨 감세 법안에도 중국 CATL과 건설하는 배터리 공장은 세액공제 대상이라는 점을 확인했다.
한국 SK온도 포드와 배터리 합작공장을 준비하고 있는데 세액공제가 이 공장에도 호재로 작용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9일(현지시각) 뉴욕타임스는 “포드가 세액공제를 확보하지 못했다면 SK온과 건설 중인 켄터키주 배터리 합작공장을 재고해야 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포드는 SK온과 2021년 5월 배터리 합작사 ‘블루오벌SK’를 설립했다. 이후 켄터키와 테네시에 연산 129기가와트시(GWh) 규모의 공장 3곳을 구축하고 있다.
그런데 포드가 CATL과 건설하는 다른 배터리 공장이 트럼프 정부에서 세액공제 대상에 들어가 SK온이랑 짓는 공장에 변수가 하나 사라졌다는 것이다.
뉴욕타임스는 “수십억 달러 가치가 있는 세액공제가 줄어들면 포드는 배터리 공장에서 수익을 내면서 운영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짚었다.
포드는 중국 CATL로부터 기술 라이선스를 받는 형식으로 미국 미시간주 마샬에 배터리 공장을 건립하고 있다.
중저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만들 공장으로 2026년 가동이 목표다.
트럼프 정부와 미국 정치권은 중국 기술 사용을 이유로 포드 배터리 공장을 세액공제에서 제외시킬 가능성을 언급했다.
그러나 4일 최종 통과한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에서 일부 규정이 완화해 세액공제 자격을 확보했다.
포드는 8일 공식 성명을 통해 “미시간 공장은 세액공제 혜택을 받는다”라고 전했다.
공화당 의원이 지역 경제를 고려해 일부 조항을 유연하게 조정했다는 관측이 나왔다. 중국 기술 없이 미국에서 배터리를 제조하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는 시각도 있다.
뉴욕타임스는 “중국 배터리 기업은 서구권 업체보다 수년 앞서 있다”라고 진단했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