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년 9월에 열린 기업성장포럼 출범식. <연합뉴스> |
[비즈니스포스트] 경제계가 우리 경제의 성장엔진 재점화를 위해 민관 협력을 통한 '스케일업 하이웨이' 구축을 제안했다.
한국경제인협회는 20일 대한상공회의소, 한국중견기업연합회와 공동으로 서울 여의도 CCMM빌딩에서 '제2차 기업성장포럼'을 개최했다.
포럼에는 경제계는 물론 정부와 국회, 학계 인사가 함께 모여 '성장지향형 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혁신 전략'을 논의했다.
이번 포럼에는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과 정철 한경협 연구총괄대표 겸 한국경제연구원장, 최진식 중견련 회장을 비롯해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 정부 인사와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 김도읍 국민의힘 정책위의장, 김기식 국회 미래연구원장 등이 참석했다.
정철 한국경제연구원장은 기조강연에서 "중견기업 자연증가율이 최근 4년 내내 0%대에 머물러 '중간층 부재'가 고착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제조업 분야에서 고성장기업 수와 비중도 10년 전과 비교해 크게 줄고 있다.
고성장기업은 상용근로자가 10인 이상인 활동 기업 중 최근 3년 동안 매출과 상용근로자 모두 연평균 10% 이상 증가한 기업을 말한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최근 3년 동안(2021~2023년) 중소기업으로 회귀한 기업은 1147개로 중견기업으로 성장한 졸업 기업(931개)보다 많다.
정 원장은 이같은 문제가 고착화하는 이유로 차별적 지원·세제혜택과 기업 규모별 차별규제, 전략적 자본의 부재 등을 꼽았다.
그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3대 전략으로 △성장 인센티브 △스마트 규제개혁 △생산적 금융 활성화를 제시했다.
성장 인센티브는 기업규모와 상관없이 지원 차별없이 지원하고 연구개발 지출 증가율 등을 성과에 반영하는 방식이다. 회사가 성장할수록 비용 부담이 늘어나는 역성장 구조를 탈피하자는 것이다.
스마트 규제개혁은 성장 기업이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받는 구조를 만들자는 취지다.
생산적 금융은 대기업의 자본이 스타트업의 실험과 혁신을 견인할 수 있는 구조 마련을 뼈대로 한다.
일반지주회사의 펀드 운용사(GP) 보유를 허용하는 등 금융-산업 자본의 융합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한상우 코리아스타트업포럼 의장은 "대기업 자본이 스타트업의 실험과 혁신을 견인할 수 있도록 '생산적 금융'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며 "대기업의 인프라·자본과 스타트업의 기술·속도가 만나 개방형 혁신이 이뤄진다면 한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축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