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 트럼프 정부가 중국의 무역보복 가능성과 물가에 미칠 영향을 우려해 반도체 관세 정책 시행을 의도적으로 늦추고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
[비즈니스포스트] 미국 트럼프 정부가 핵심 경제 정책으로 앞세우던 반도체 수입관세 부과 계획을 의도적으로 늦추고 있다는 관계자들의 발언이 전해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과 관계 악화 가능성, 인플레이션 심화에 따른 부정적 여론 등을 고려해 신중한 입장에 서고 있다는 것이다.
로이터는 20일 내부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해 “미국 정부는 중국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반도체 관세를 잠재적으로 연기하며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반도체에 고율 관세 부과는 중국이 희토류 수출 통제를 재차 강화하는 등 미국에 타격을 입히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판단해 시기를 조율하고 있다는 의미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른 국가에서 수입하는 반도체에 최고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엄포를 놓았다. 미국 내 반도체 공장 건설을 유도하려는 목적이다.
만약 관세가 실제로 책정된다면 한국과 대만, 중국 등 반도체 공급망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국가들이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미국 정부는 지난 수 개월에 걸쳐 이른 시일에 반도체 품목별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하겠다고 전해 왔지만 최근에는 내부 논의가 이어지며 분위기가 바뀌었다.
로이터는 “트럼프 정부가 반도체 관세 도입을 늦추거나 수위를 낮추기로 결정할 수 있다”며 “지금은 트럼프 대통령에 민감한 시점이기 때문”이라고 바라봤다.
최근 미국 경제에는 꾸준한 물가 상승이 큰 문제점으로 자리잡고 있다.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이 원인으로 지목되며 여론이 악화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반도체에도 고율 관세가 매겨지면 스마트폰과 가전제품 등 여러 소비자용 제품의 판매가 상승도 불가피해 인플레이션이 더욱 뚜렷해질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우려해 반도체 관세에 다소 유보적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된다.
다만 백악관 대변인은 이와 관련해 로이터에 “트럼프 행정부는 국가 및 경제 안보에 필수 제조업을 미국으로 되돌리기 위해 모든 수단을 사용할 것”이라며 “익명의 제보를 인용한 보도는 가짜뉴스”라고 말했다.
미국 상무부 관계자도 “반도체 품목별 관세에 관련한 정책에는 변화가 없다”고 전했다. 그러나 관세 확정 등 구체적 일정과 관련한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