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노동조합이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손실사태와 관련해 우리은행과 KEB하나은행의 최고경영자(CEO)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태도를 보였다.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 금융감독원 지부는 29일 성명서에서 “파생결합펀드(DLF)의 상품 기획부터 판매까지 모든 과정에 걸쳐 꼼수와 반칙이 난무했다”며 “최고경영자(CEO)에게 책임을 묻는 것이 소비자를 위하는 길”이라고 말했다.
 
금감원 노조 "금융위 눈치 보지 말고 우리 하나은행 경영진 징계해야"

▲ 금융감독원 로고.


노조는 우리은행과 KEB하나은행 최고경영자들이 책임을 부인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노조는 “해당 은행 최고경영자는 결재서류에 본인들의 서명이 없다며 책임을 부인하고 있다”며 “10억 원 가까운 연봉을 받으면서 그에 걸맞는 책임은 지지 않겠다는 처사”라고 말했다.
 
노조는 윤석헌 금감원장에게 금융위원회의 눈치를 보지 말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노조는 "파생결합펀드 문제를 어물쩍 넘어간다면 키코 문제에 관한 윤 원장의 진정성이 의심받고 소비자 보호를 강화한 조직개편도 속 빈 강정이 되고 만다"며 "금융위의 눈치를 보지 말길 바란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30일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 겸 우리은행장, 함영주 하나금융지주 부회장 등의 징계 수위를 논의하는 세 번째 제재심의위원회를 연다. [비즈니스포스트 고두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