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 다이아몬드홀에서 열린 ‘2025 기후경쟁력포럼’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
[비즈니스포스트]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대한민국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재생에너지 확대는 당장 속도를 내야 할 생존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민 의원은 1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 다이아몬드홀(옛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2025 기후경쟁력포럼’에서 축사를 통해 “재생에너지 확대는 선택이 아니다”라며 “대한민국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생존 전략”이라고 말했다.
이번 행사는 비즈니스포스트와 KoSIF의 공동 주최로 '성장을 위한 전환, 재생에너지 혁신을 위한 마지막 기회'를 주제로 열렸다. 올해 세 번째를 맞이했다.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와 국회ESG포럼이 후원에 참여했다. 민 의원은 국회 ESG포럼 공동대표도 맡고 있다.
민 의원은 이날 축사에서 온전한 지구 환경을 물려주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추진하는 일은 후세를 위한 중요한 책임이지만 우리 세대는 현재 제대로 책임을 지지 못하고 있다고 짚었다.
그는 “지금 우리가 먹고, 마시고, 숨 쉴 수 있는 환경, 기후가 지속적으로 나빠지고 있는 이 시기에 부모로서 내리사랑을 실천하지 못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절박한 상태”라며 “지속 가능한 세상을 키질 수 있을까에 굉장히 초조함을 느낀다”고 말했다.
대한민국이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세계적인 재생에너지 확대 흐름에서 뒤쳐져 있다고도 목소리를 높였다.
민 의원은 “국제에너지기구에서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우리나라 재생에너지 비중은 7.5%로 OECD 국가 가운데 꼴찌 수준”이라며 “글로벌 대기업은 이미 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하는 친환경 생산 체제를 구축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국가적으로 속도를 내야 할 시기임에도 지난 윤석열 정부 3년 동안 진전을 보지 못했다고도 비판했다.
민 의원은 “지난 3년 동안 윤석열 정부 에너지 정책은 아이 낙제점이라는 질문과 평가가 많다”며 “그래서 늦었으니 이제는 속도를 올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재명 정부에서는 재생에서지 확대로 정책 방향을 잡은 만큼 정책 속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민 의원은 “새로 취임한 이재명 대통령은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40%로 감축할 것이라고 약속했다”며 “더불어민주당에서도 대한민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을 주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기후경쟁력포럼을 통해 마음과 지혜를 모아 기후문제 해결을 위한, 그리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상호 기자
<민병덕 의원 축사 전문>
반갑습니다.
국회 ESG포럼 공동대표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민병덕입니다.
오늘 ‘2025 기후경쟁력포럼’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오늘 포럼에 참석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성장을 위한 전환 : 재생에너지 혁신의 마지막 기회’라는 주제로 뜻깊은 포럼을 준비해 주신 강석운 비즈니스포스트 대표님과 김영호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이사장님 그리고 행사 관계 자 분들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오늘 포럼의 기조연설을 맡아주신 존 번 미국 델라웨이대학교 명예석좌 교수님과 기조발제를 맡아주신 박지혜 더불어민주당 의원님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재생에너지 확대는 선택이 아닙니다. 대한민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생존전략입니다. 하지만 아직도 갈 길이 멉니다.
국제에너지기구(IEA)가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우리나라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은 10.5%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꼴찌 수준입니다. OECD 회원국의 평균 재 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35.8%입니다. 중국(34.3%)과 인도(21.7%), 멕시코(18.9%)도 우리를 앞 서고 있습니다.
유럽연합(EU)은 내년부터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를 시행해 철강, 알루미늄, 시멘트 등 고 탄소 수출품에 ‘탄소관세’를 부과합니다. 올해 하반기부터는 배터리 제품의 탄소배출량 신고 의무화를 도입하고, 2027년부터 EU 디지털 제품여권 제도가 본격화되면 제품의 전 생애주기 별 탄소데이터를 보고할 수 있는 기업만이 글로벌 시장에 진입할 수 있게 됩니다.
대한상의의 2022년 조사에 따르면, 국내 제조 대기업 10곳 가운데 3곳이 글로벌 고객사로부 터 제품 생산 때 재생에너지를 사용해줄 것을 요구받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애플, TSMC,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엔디비아 등 글로벌 대기업은 이미 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한 친환경 생산 체계를 구축하며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지난 3년 윤석열 정부의 에너지정책은 낙제점이라는 전문가 평가가 많습니다.
늦었으니 속도 를 내야 합니다. 우리만 시기를 놓치고 전략을 제때 수립하지 못하면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들 몫입니다.
새롭게 취임한 이재명대통령은 재생에너지 확대를 국민들께 약속했습니다.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고 전북의 새만금, 경기 남동부, 전남 등을 태양광과 풍력 발전의 허브로 조성하겠다는 구상입니다.
더불어민주당은 대한민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재생에너지 확대정책을 주도해 나아가 겠습니다. 관련 전문가 분들께서 마음과 지혜를 모아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다시 한번 포럼 개최를 축하드리며, 이 자리에 함께해주신 모든 분들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합 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