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상무부에서 중국 창신메모리반도체를 SMIC 및 YMTC와 같이 제재 리스트에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중국 안후이성 허페이시에 위치한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CXMT) 반도체 공장 모습. |
[비즈니스포스트] 미국 정부가 SMIC와 YMTC에 이어 중국 메모리반도체 기업 창신메모리(CXMT)도 블랙리스트에 올려 장비 및 기술 수출을 금지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CXMT는 인공지능 반도체에 필수로 쓰이는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에서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를 추격하려 했는데 큰 걸림돌을 만나게 될 수 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16일 다수의 관계자 발언을 인용해 “미국 상무부가 CXMT를 비롯한 여러 중국 반도체 기업을 제재 명단에 포함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 파운드리 업체 SMIC와 메모리 제조사 YMTC의 여러 자회사를 블랙리스트에 포함하는 안건도 논의되고 있다.
SMIC와 YMTC는 이미 미국 정부의 제재 대상에 포함돼 미국의 장비나 기술 등을 수입하지 못하는데 자회사들로 이런 조치를 확대한다는 의미다.
파이낸셜타임스는 미국 정부에서 반중 성향을 지닌 인사들이 특히 CXMT를 대상으로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을 밀어붙여 왔다고 전했다.
CXMT가 세계 D램 시장에서 점유율을 빠르게 늘리며 중국의 HBM 자체 개발에 가장 앞서나가는 기업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설명도 이어졌다.
현재 CXMT는 상용화 수준의 HBM 기술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 기업들은 주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HBM 반도체를 수입하는 데 의존해 왔다.
그러나 미국 정부가 최근 중국의 HBM 수입을 금지하는 규제를 결정하며 한국의 수출이 어려워졌고 중국 기업들도 서둘러 대안을 마련해야만 하는 상황에 놓였다.
CXMT는 이에 따라 HBM을 자체 기술로 상용화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제품을 대체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연구개발 및 생산 투자에 한층 더 속도를 내고 있다.
만약 중국에서 자체 기술로 HBM을 개발하고 양산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면 화웨이를 비롯한 기업의 인공지능 반도체 성능 발전에 크게 기여할 잠재력이 있다.
미국 정부도 이러한 시나리오를 우려해 CXMT를 블랙리스트에 추가하며 기술 발전과 투자 확대를 견제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상무부 블랙리스트에 포함된 기업은 미국 정부의 허가 없이 기술이나 장비를 사들일 수 없다.
파이낸셜타임스는 “미국 정치권은 그동안 중국이 미국 기업의 기술을 사들이는 일이 너무 쉬웠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며 “이는 군사력 강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했다.
다만 미국 정부에서 CXMT를 상대로 한 제재 도입에 반대하는 목소리도 나오는 것으로 파악됐다.
미국과 중국이 무역 협상을 앞둔 상황에서 CXMT를 블랙리스트에 포함하는 것은 순조로운 논의가 이뤄지는 데 방해요소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정부 인사들 중 일부는 제재 도입 시기를 늦춰야 한다는 의견을 내고 있다”며 “미중 무역협상을 고려할 때 타이밍이 복잡해졌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반면 공화당 정치인들은 바이든 정부에서 중국에 발빠른 조치를 내놓지 못해 지금과 같은 상황이 벌어졌다며 규제를 서둘러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