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리포트 7월] 추락하는 지지율 윤석열, 작동이 안 되는 국회

윤석열 대통령이 7월6일 오전 충남 계룡대에서 열린 전군 주요지휘관회의에서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에 대한 묵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비즈니스포스트] 한국 사회의 가장 큰 문제는 정치라는 지적이 절감되는 때다.

세계 각국이 경제위기를 맞아 대책마련에 분주하지만 우리 정치권은 그에 걸맞게 대응하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대통령부터 국민의 신뢰를 조금씩 잃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 지지율이 취임 두 달도 안 돼 40%대로 떨어졌다.

일부 조사에서는 부정평가와 긍정평가 차이가 오차범위 밖으로 벌어지는 등 임기 초반 여론이 심상치 않다. 나토(NATO) 참석으로 첫 해외순방을 다녀온 효과도 별반 소용이 없었다.

알앤써치가 뉴스핌 의뢰로 2일부터 4일까지 진행한 여론조사에서 윤 대통령이 국정수행을 잘한다는 의견은 42.6%에 그쳤다. 잘 못하고 있다는 의견이 53%로 절반 이상이었다.

KSOI가 TBS 의뢰로 1일부터 2일까지 진행한 여론조사에서도 부정평가가 51.9%로 긍정평가 42.8%를 크게 앞섰다.

리얼미터 6월5주차 자체집계에서는 부정평가 50.2%, 긍정평가 44.4%로 나타났고 리서치뷰가 6월28~30일 진행한 여론조사는 부정평가 51%, 긍정평가 45%였다.

같은 기간 한국갤럽이 진행한 여론조사는 긍정평가 43%, 부정평가 42%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론조사와 관련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임기 초반 대통령 지지율이 70~80%에 이르는 점을 고려하면 윤 대통령의 낮은 지지율은 이례적이다. 리얼미터 주간조사 기준으로 문재인 전 대통령의 퇴임 직전 지지율(41.8%)와 거의 차이 나지 않는 수준이다.

낮은 지지율의 원인으로는 단연 인사 문제가 꼽힌다. 검찰 출신 인사를 연달아 발탁하고 정호영 후보자에 이어 김승희 후보자까지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가 연속 낙마하는 등 인사를 향한 우려의 시선이 적지 않다.

한국갤럽이 1일 발표한 여론조사에서 부정평가 이유로 인사(18%)가 가장 많이 꼽혔다. 고물가·고금리·고환율 3고 현상이 심화하고 있음에도 경제·민생(10%)을 부정평가 요인으로 꼽은 응답자보다 많았다.

윤 대통령은 인사 논란에 불편한 기색을 내비쳤다. 당분간 지지율 반등의 전기를 마련하기 쉽지 않아 보이는 이유다.

윤 대통령은 5일 출근길 약식 기자회견(도어스테핑)에서 부실 인사를 지적받자 이전 정권을 거론하며 “다른 질문”이라고 일축하고 10여 초만에 자리를 피했다.

다만 윤 대통령의 낮은 지지율에는 대외적 요인도 없지 않다. 글로벌 물가상승과 경기침체 우려 등으로 윤 대통령뿐 아니라 다른 나라 정상들 역시 좀처럼 지지율을 끌어올리지 못하고 있다.

미국 에머슨대가 6월28~29일 전국 127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바이든 대통령 지지율은 39%로 트럼프 전 대통령(44%)보다 낮았다.

일본 NHK가 6월24~26일 전국 2049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여론조사에서 기시다 후미오 내각 지지율은 50%로 2주 전보다 9%포인트 하락했다.

파티 게이트 후폭풍이 지속되고 있는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영국 유고브에 따르면 6월30일 기준으로 존슨 총리가 물러나야 한다는 의견이 62%, 자리를 지켜야 한다는 의견이 24%였다.

민생 경제 어려움이 가중되는 가운데 국회 역시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다. 4일 여야 합의로 21대 하반기 국회의장단을 선출하면서 비로소 정상화 국면에 접어들게 됐으나 여전히 상임위원장 선출 등 원 구성 협상이 남아 있다.

각 정당 상황도 혼란스럽다. 여당인 국민의힘은 사상 초유의 당대표 징계 위기에 놓여 있다.

이준석 대표는 성상납 의혹과 관련해 증거인멸 혐의를 받고 있는데 당 윤리위원회가 7일 징계 심의를 진행한다. 자칫 대표직 수행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당 안팎으로 관심이 집중된다.

더불어민주당은 8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이재명 대 97그룹(90년대 학번 70년대 출생) 구도가 형성된 가운데 전당대회 방식을 놓고 잡음이 일었다.

전당대회준비위원회가 예비경선에 일반국민 여론조사를 반영하도록 했는데 비대위에서 이를 뒤집었다가 당무위원회를 거쳐 다시 전준위안을 수용했다. 박지현 전 비대위원장의 경선 출마 자격을 둘러싼 논란도 제기됐다.

대선과 지선을 거치며 존재감이 대폭 축소된 정의당은 더욱 위기다. 비대위 체제로 전환해 9월 지도부 선출을 예고한 상황에서 비례대표 총사퇴로 배수진을 쳐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정호진 전 정의당 수석대변인은 5일 “돌아선 민심을 잡기 위해 강력한 쇄신안이 필요하다”며 “절박한 심정으로 21대 비례대표 국회의원 사퇴 권고 당원 총투표를 발의했다”고 말했다.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