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스마트폰사업 재검토 결과를 내놓지 않고 있다.

LG전자는 모바일 원천기술을 지키면서도 군살빼기를 원하는데 일부 인수후보는 핵심기술을 원해 이해관계가 엇갈려 합의점을 도출하기 쉽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LG전자 스마트폰 처리방향 왜 늦어지나, 사업가치 하락 부담 커져

▲ LG전자 스마트폰이 생산되는 베트남 하이퐁공장. < LG전자 >


스마트폰사업 구조조정 방향이 이른 시일 안에 결정되지 않으면 글로벌 소비자들의 신뢰가 점차 하락할 수밖에 없어 스마트폰사업의 가치에도 부정적 영향이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24일 모바일업계에 따르면 LG전자 스마트폰사업을 인수할 기업이 좀처럼 나타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베트남 빈그룹이 유력한 인수후보로 거론됐지만 최근 LG전자와 협상이 결렬된 것으로 전해졌다.

러시아 국부펀드 러시아직접투자기금(RDIF), 독일 폴크스바겐그룹, 구글, 페이스북 등도 LG전자 스마트폰사업 인수를 검토하는 곳으로 이름이 오르내리지만 아직 공개적으로 인수의사를 보이지 않았다.

이렇게 인수후보들이 LG전자 스마트폰사업 인수에 소극적 태도를 보이는 데는 모바일 핵심기술이 없는 ‘빈껍데기’만 차지할  수 있다는 우려가 깔린 것으로 보인다.

LG전자는 스마트폰사업을 매각 또는 축소하더라도 모바일 기술은 지키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5G통신 등 모바일기술은 생활가전, 전장 등 LG전자의 다른 사업들을 위해서도 꼭 필요하기 때문이다.

LG전자는 2020년 4분기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핵심 모바일기술은 단말기뿐만 아니라 스마트가전, 자동차 전장사업의 중요한 자산이다”며 “LG전자 미래사업과 상승효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다양한 내재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LG전자는 또 스마트폰사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정부 눈치도 봐야 한다. LG전자가 스마트폰사업을 접으면 국내 스마트폰시장에서 소비자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는 의견이 정관계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7일 국회에서 LG전자 스마트폰사업 철수를 두고 “공식화한 것은 아니지만 앞으로 어떻게 진행될지 시장동향을 보고 할 수 있는 범위에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다만 시장에서는 LG전자가 스마트폰사업 매각이 늦어질수록 사업가치가 하락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는 시선도 자리잡고 있다.

최근 LG전자는 롤러블 스마트폰 등 프리미엄 제품 출시계획은 구체화하지 않되 위탁생산(ODM) 중심 중저가 스마트폰사업은 여전히 지속하고 있다. 22일 인도에서 중저가 스마트폰 W41 시리즈 3종을 선보였다.

하지만 LG전자가 이미 스마트폰사업 구조조정 의지를 밝힌 상황에서 소비자들이 스마트폰 신제품에 얼마나 호응할지에는 물음표가 붙는다. 

스마트폰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등 사후지원이 중요한 제품이다. 최신 기기를 사더라도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를 제공받지 못하면 사용자가 불편을 겪을 수 있다. 심한 경우 보안에 관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LG전자든 다른 기업이든 향후 LG 스마트폰을 관리하게 될 주체가 확실해져야 소비자들의 사후지원에 관한 불안이 해소될 수 있다는 뜻이다.

LG전자는 스마트폰사업 매각이 지지부진해 매각 대신 자체적으로 사업축소나 철수를 결정할 경우 고용부담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상황에 놓여 있다.

권봉석 LG전자 대표이사 사장은 앞서 모바일사업을 두고 “사업 운영방향이 어떻게 정해지더라도 원칙적으로 구성원의 고용은 유지된다”고 약속했다.

지난해 3분기 기준 LG전자 MC사업본부(모바일) 직원은 3724명으로 LG전자 전체 구성원의 10분의 1이 조금 안 되는 수준이다. LG전자가 사업축소 및 철수 과정에서 고용유지 약속을 지키기 위해서는 이들을 다른 사업본부 또는 계열사로 분산해야 한다. [비즈니스포스트 임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