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범 서울교통공사 사장이 서울교통공사를 맡아 만성적자에서 구출하고 내부의 갈등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다.    

27일 서울교통공사 관계자의 말을 종합하면 김 사장은 우선적으로 서울교통공사의 만성적자를 줄여나가고 직렬 사이의 반목이나 둘로 나뉘어진 노조의 대립에 따른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힘쓴다.
 
김상범, 서울교통공사 맡아 만성적자 탈출 위해 요금인상 추진할까

▲ 김상범 서울교통공사 사장.


서울교통공사는 그동안 만성적자에 시달려왔는데 최근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적자폭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됐다. 

서울교통공사의 한 관계자는 “아직 정확한 집계는 못했지만 근무하고 있는 지하철 역의 매출만 살펴보면 최근 코로나19 확산에 영향을 받아 월매출이 90%가량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며 "다른 역들의 상황을 확실하게 알 수는 없지만 대부분 비상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서울교통공사는 매년 순손실 5천억 원대를 보고 있는데 적자가 더욱 커질 것으로 분석된다. 서울교통공사 관계자는 올해 순손실 규모가 7천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송석준 자유한국당 의원이 서울교통공사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순손실 5219억 원, 2018년 순손실 5322억 원을 냈다.

서울교통공사는 지하철요금을 인상하지 않고 있어 원가보존율이 65%에 그치기 때문에 적자를 이어왔다. 2018년 기준 1인당 수송원가는 1456원인데 평균 운임은 946원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하철 요금은 2007년(800원에서 900원으로 인상)과 2012년(1050원으로 인상), 2015년(1250원으로 인상)에 3차례 인상된 뒤 5년째 동결됐다.
 
업계에서는 김상범 사장이 오랜기간 요금이 동결됐다는 점과 서울교통공사의 누적 적자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불가피하게 지하철요금 인상이 필요하다는 논리를 펼쳐 요금인상을 추진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시선이 나오고 있다. 

올해 초 서울교통공사는 서울시에 도시철도 요금 조정 연구용역 추진계획을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용역과제에는 ‘거리 비례제’로 계산하고 있는 광역환승 요금구조를 개선해 환승손실금을 줄이는 방안 등이 담겨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교통공사의 승무직렬과 비승무직렬의 임금 격차에 관한 불만의 목소리가 높은 점도 김 사장이 해결해야 할 과제다.

승무직렬의 기관사는 열차를 운행하는 일을 담당하고 있어 휴가를 쓰게 되면 다른 기관사가 대신 열차를 운행해야 하는데 대신 일을 하면 대무수당의 명목으로 월 평균 20~30만 원을 받게된다. 따라서 승무직렬의 직원들은 일반적으로 월 평균급여가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서울교통공사의 한 관계자는 “회사에서 지급하는 초과근무수당의 90%를 승무직렬이 가져가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와 관련해 내부에서 합리적 임금체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계속 나왔고 최근 개편을 위한 논의가 시작됐지만 흡족한 안을 만들어낼지 미지수”라고 말했다. 

노동조합이 둘로 나뉘어 대립하고 있는 점도 문제로 꼽힌다.

서울교통공사에는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에 속하는 서울교통공사노동조합이 있고 한국노총 공공연맹에 속하는 서울교통공사통합노동조합이 있다.

최근 서울교통공사통합노조는 민주노총 소속 노조원들이 '직장 내 괴롭힘' 행위를 했다고 주장하면서 서울시에 이와 관련해 조사할 것을 요청하기도 했다. 

민주노총 쪽 노조가 지난해 11월 ‘운행시간 원상회복 투쟁’을 선포했을 때 동참하지 않은 한국노총 쪽 통합노조 소속 승무원들을 대상으로 인신공격성 대자보를 부착하는 등 집단괴롭힘 행위를 했다는 것이다. 

이에 앞서 민주노총쪽 노조가 서울교통공사 업무직의 정규직 전환을 주도했으나 한국노총쪽 통합노조는 공식적으로 이를 반대하면서 두 노조의 대립이 심화했다. 

서울교통공사 관계자는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과정에서 둘로 갈라진 노조사이의 대립은 지금까지 계속 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노사사이 협의하는 일에서도 노조가 나뉘어져 있어 여러가지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정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