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그룹과 신세계그룹, 남양유업 등 유통업계 대기업들이 10월 국정감사에서 유통업계의 ‘갑횡포’와 ‘지역상권 침범’ 논란에 진땀을 흘릴 것으로 보인다.

매년 국감에서 반복되는 유통 대기업의 갑횡포 논란과 지역상권 침해 문제가 올해도 국감을 앞두고 유통업계의 최대 이슈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롯데 남양유업 신세계, 갑횡포와 지역상권 침범 논란에 국감에 또 올라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왼쪽부터),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 홍원식 남양유업 회장.


다만 각 기업들이 올해 불거진 논란들을 놓고 사실관계와 다르다며 억울함을 토로하고 있는 만큼 국감장에서 설전이 벌어질 가능성도 있다.

26일 정치권에 따르면 여야가 최근 부진한 대내외 경기를 감안해 재계 총수를 국감에 부르는 것을 자제하고 있는 가운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을 국감 증인으로 채택했다. 

롯데그룹 계열사인 롯데푸드가 거래상 지위 남용행위를 비롯해 납품업체에 갑횡포를 부렸다는 의혹을 추궁하기 위해서인데 재계 총수 가운데 올해 국감 증인으로 채택된 것은 신 회장이 아직까지 유일하다.

롯데푸드의 갑횡포 논란은 2013년 납품업체 후로즌델리가 롯데푸드에게 부당하게 갑횡포를 당해 수십억 원 규모의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했던 사건이다.

2014년 당사자들의 합의로 마무리됐던 사건인 데다 2016년 재계 청문회와 2018년 국정감사에서 다뤄졌던 이슈지만 또 다시 신 회장이 증인으로 채택됐다.

보건복지위원회는 이와 함께 신 회장에게 식품 관련 업체의 위생문제, 소비자 고발, 민원 등을 종합적으로 묻기로 했지만 계열사 갑횡포 문제로 총수인 신 회장을 증인으로 채택한 것은 의아하다는 반응이 나온다.

또 상대적으로 위생문제와 소비자 권익 강화 등에 초점을 두는 보건복지위원회가 갑횡포 문제를 들고나온 것 역시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최근 대형 유통사의 갑횡포 행위에 국민적 관심이 쏠리고 있기 때문이라는 보건복지위원회의 설명과 후레즌델리가 있는 충남 아산을 지역구로 두고 있는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회의원의 총선 대비용 민원 해결을 위한 무리한 요구라는 비판이 맞부딪치고 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는 홍원식 남양유업 회장을 증인으로 신청해 최근 다시 불거진 남양유업 갑횡포 논란을 따져 묻는다. 

남양유업은 2013년 갑횡포 논란으로 홍역을 치른 뒤 ‘상생’을 내걸고 기업 이미지 쇄신에 공을 들여왔지만 그 뒤 또 다시 대리점에 물량을 떠넘기는 ‘밀어내기’를 하고 대리점 장부를 조작했다는 논란에 휩싸였다. 

국회 정무위원회 역시 남양유업 갑횡포 논란과 관련해 홍 회장을 증인으로 채택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례적으로 같은 사안으로 국감장 2곳을 오가게 될 수도 있다.

다만 남양유업이 공식적으로 이번에 불거진 갑횡포 의혹이 사실과 다르다고 적극 해명하고 있으며 홍 회장도 논란이 불거졌던 2013년과 올해 모두 별다른 행보를 보이지 않는 만큼 증인으로 출석할 가능성은 낮다.

이 밖에 국회 정무위원회는 bhc와 써브웨이, 골프존 등 가맹점을 대상으로 갑횡포를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곳들의 경영진을 국감 증인으로 부르는 방안도 논의하고 있다.

신세계그룹은 지역상권 침해 논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는 이갑수 이마트 대표와 임영록 신세계프라퍼티 대표를 국감 증인으로 채택했다.

신세계그룹의 ‘이마트 타운’과 ‘스타필드’를 지방으로 확대하는 과정에서 소상공인 중심의 지역상권을 침해하고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일부 국회의원들은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을 국감 증인으로 부르는 방안까지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 부회장이 채용확대 및 상생협력 강화 등을 약속하고 상생협력조정위원회를 꾸리는 등 노력하고 있지만 신세계 계열사들의 출점 확대로 지방 곳곳에서 파열음이 나고 있다.

정 부회장의 야심작인 ‘노브랜드’ 점포를 확대하는 과정에서 근접 출점을 이유로 피해를 호소하는 소상공인들과 곳곳에서 충돌을 벌이고 있는 데다 복합쇼핑몰인 스타필드를 전국으로 확대하겠다는 계획 역시 대형 유통점 신규출점 규제 강화 논의에 가로막힐 위기에 놓였다.

대한상공회의소 등이 최근 온라인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는 유통환경에 맞춰 대규모 점포를 대상으로 한 규제를 완화해달라고 요청하고 있는 만큼 국감장에서 설전이 벌어질 가능성도 있다.

다만 국감일 3일 전까지 ‘불출석사유서’를 제출하면서 되는 만큼 실제 대기업 총수들의 출석 여부는 불확실하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