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가 배터리 핵심소재인 분리막을 일본업체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일본이 반도체에 이어 배터리소재의 수출규제 도입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진 만큼 삼성SDI가 분리막 수급처를 한국기업 등으로 다변화하는 일이 다급해졌다.
 
![삼성SDI, 일본에 배터리 핵심소재 분리막 의존 높아 국산화 추진]() 
김지산 키움증권 연구원은 8일 "일본의 수출규제와 관련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특히 배터리 분리막 소재의 공급이 민감한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일본정부는 최근 한국에 수출하는 반도체소재의 수출규제를 도입한 데 이어 배터리에 사용되는 여러 핵심소재의 추가 규제를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 연구원은 한국 배터리업체들이 핵심소재의 내재화와 수급처 다변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 일본의 수출규제에도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김 연구원은 삼성SDI가 아사히카세이와 도레이 등 일본기업에서 분리막 수급 비중이 커 의존도가 높은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분리막은 배터리 내부의 양극과 음극이 접촉하지 않도록 분리해주는 핵심소재로 배터리의 안정성 확보와 직결된다.
삼성SDI가 일본에서 분리막을 들여오기 어려워진다면 배터리사업에 다소 차질을 겪을 가능성이 있다.
김 연구원은 삼성SDI가 SK이노베이션 등 한국기업으로 분리막 수급처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어 대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삼성SDI가 그동안 일본에서 사들이던 물량을 모두 국내기업 제품으로 대체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미지수로 꼽힌다.
삼성SDI의 배터리 경쟁사인 LG화학은 자체적으로 분리막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일본의 수출규제에도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예상됐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
												         
													        
															
															
														
																
															
															
																													
															
															
															
														
															
															
															
														
											             
                        
                    일본이 반도체에 이어 배터리소재의 수출규제 도입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진 만큼 삼성SDI가 분리막 수급처를 한국기업 등으로 다변화하는 일이 다급해졌다.
 
▲ 전영현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
김지산 키움증권 연구원은 8일 "일본의 수출규제와 관련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특히 배터리 분리막 소재의 공급이 민감한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일본정부는 최근 한국에 수출하는 반도체소재의 수출규제를 도입한 데 이어 배터리에 사용되는 여러 핵심소재의 추가 규제를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 연구원은 한국 배터리업체들이 핵심소재의 내재화와 수급처 다변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 일본의 수출규제에도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김 연구원은 삼성SDI가 아사히카세이와 도레이 등 일본기업에서 분리막 수급 비중이 커 의존도가 높은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분리막은 배터리 내부의 양극과 음극이 접촉하지 않도록 분리해주는 핵심소재로 배터리의 안정성 확보와 직결된다.
삼성SDI가 일본에서 분리막을 들여오기 어려워진다면 배터리사업에 다소 차질을 겪을 가능성이 있다.
김 연구원은 삼성SDI가 SK이노베이션 등 한국기업으로 분리막 수급처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어 대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삼성SDI가 그동안 일본에서 사들이던 물량을 모두 국내기업 제품으로 대체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미지수로 꼽힌다.
삼성SDI의 배터리 경쟁사인 LG화학은 자체적으로 분리막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일본의 수출규제에도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예상됐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

 
                                 
                                 
                                 
                                 
                                 
                                 
                                ![[미디어토마토] 서울시장 가상 1대1 대결, 오세훈 46.8% VS 박주민 42.0%](https://businesspost.co.kr/news/photo/202510/20251031111357_4281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