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국영 석유회사인 페트로차이나가 신장위구르 자치구 우루무치에 운영하는 석유화학 설비. 2023년 12월17일 촬영된 모습이다. <위키어커먼즈> |
[비즈니스포스트] 중국 정부가 석유화학과 정유 산업의 구조조정 방안을 이르면 9월에 구체화한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과잉 생산으로 수익성이 떨어진 부문은 축소하고 반도체와 로봇 등 첨단 산업에 필요한 정밀화학 소재 중심으로 투자를 유도하려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20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중국 사정에 정통한 관계자는 “석유화학과 정유 산업에서 과잉 생산을 줄일 대책이 9월 안에 나올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 대책은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의 최종 승인 절차를 앞두고 있다.
중국 당국은 전체 석유화학 설비 가운데 20년 이상 노후한 곳을 전면 개보수할 방침이다. 전체 설비의 40%가 이에 해당한다.
이 관계자는 “연산 200만 톤 미만의 소규모 정유업체도 문을 닫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이 석유화학과 정유 산업에서 고강도의 구조 조정을 진행하는 배경으로 블룸버그는 과잉 생산을 지목했다.
석유제품 수요 둔화로 중국 내 유휴 생산 능력이 6천만 톤에 달하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는 올해 정유 생산을 10억 톤으로 제한하겠다는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
특히 전기차 확산으로 수송용 연료 수요가 줄어 중국 당국은 정유업체에 정밀화학과 고부가 소재로의 전환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블룸버그는 이번 산업 재편의 대상에서 벗어난 에틸렌은 공급 과잉이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유럽을 비롯한 다른 지역에도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