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범석 쿠팡 이사회 의장의 지휘 아래, 쿠팡은 커머스뿐 아니라 배달(쿠팡이츠), 콘텐츠(쿠팡플레이)로 쿠팡의 사업 외연을 넓히며 종합 플랫폼으로서 진화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쿠팡은 여전히 '노동 문제'라는 과제를 풀지 못하고 있다. <그래픽 씨저널> |
[씨저널] 사업현장 82곳 가운데 41곳에서 산업안전보건법령 위반사항 적발, 4건의 사법처리, 53건의 과태료 부과 처분, 34건의 시정조치.
고용노동부가 올해 1월14일 발표한 쿠팡CLS에 대한 근로감독 결과 발표 내용이다.
쿠팡은 2024년 기준 연매출 41조 원을 돌파하며 국내 유통업계 최초로 ‘40조 시대’를 열었다.
김범석 쿠팡 이사회 의장은 이커머스뿐 아니라 배달(쿠팡이츠), 콘텐츠(쿠팡플레이)로 쿠팡의 사업 외연을 넓히며 종합 플랫폼으로서 진화를 이어가고 있다. 대만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했다는 평가도 받는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쿠팡은 여전히 풀지 못한 한가지 커다란 과제를 안고 있다. 바로 ‘노동 문제’다.
◆ 반복되는 노동 문제, 해묵은 이슈 아닌 현재진행형
2020년부터 이어진 물류센터 노동자 사망 사건은 2024년까지도 지속적으로 발생했으며 2021년 쿠팡 이천물류센터 화재 당시 안전불감증 논란, 블랙리스트 작성 논란, 물류센터 직원 및 쿠팡맨 과로 논란 등 쿠팡의 노동 문제는 지속적으로 사회의 주목을 받아왔다.
쿠팡은 일부 건에 대해서는 사실관계를 부인하고, 일부 건에서는 재발 방지 대책을 내놓고 내부 조치를 실시하는 등의 대응을 하고 있다.
하지만 쿠팡의 노동환경을 둘러싼 사회적 평가는 여전히 부정적이다. 국내에서 ‘플랫폼 노동자’의 노동환경과 관련된 문제 제기는 사실상 쿠팡에서 시작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실제로 쿠팡은 2020년 이후 매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환노위) 국정감사에 ‘단골 손님’으로 불려나오고 있다.
2020년과 2021년에는 엄성환 당시 쿠팡풀필먼트서비스 부사장이, 2022년에는 정종철 쿠팡풀필먼트서비스 법무부문 대표가, 2023년에는 홍용준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 대표가, 2024년에는 정종철 쿠팡풀필먼트서비스 대표와 홍용준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 대표가 환노위 국감에 증인으로 출석했다.
◆ 글로벌 진출 가속화, 그러나 ‘노동 문제’가 발목 잡을 수 있다
김범석 의장은 쿠팡의 글로벌 확장을 위해 대만에 두 곳의 물류센터를 운영하며 한국 시장에서의 성공 모델을 대만에 이식해 나가고 있다. 한차례 진출에 실패했던 일본 시장 역시 ‘쿠팡이츠’를 내세워 재공략에 나섰다.
그러나 쿠팡의 글로벌 진출이 본격화될수록 국내에서 여러차례 비판받아온 쿠팡의 노동 문제가 국제적 리스크로 전환될 가능성도 커진다.
특히 현재 쿠팡이 진출해있는 대만은 1992년 한국-대만 단교 사태 등으로 반한감정이 극심했던 나라다. TSMC-삼성전자의 라이벌 관계, 중화사상 등을 기반으로 한국에 대한 경쟁의식이 강한 국가이기도 하다.
만약 국내에서 발생했던 쿠팡의 노동 관련 문제가 대만에서도 이어진다면 이를 계기로 대만에서 반한감정이 폭발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힘들다.
쿠팡의 잠재적 진출 지역으로 꼽히는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의 다른 국가들도 마찬가지다.
이들 지역은 북미·유럽 지역처럼 노동자의 권리에 대한 의식 수준이 매우 높은 곳은 아니다. 하지만 식민 지배와 자원 수탈의 경험이 강하게 남아 있는 지역인 만큼 외국계 기업에 대한 국민들의 감시와 비판의 강도는 제도적 제한보다 훨씬 더 강력한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
현지 소비자 정서 악화, 정치권의 압박, 현지화 실패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뜻이다.
▲ 강한승 쿠팡 대표이사가 1월21일 열린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열린 쿠팡 택배노동자 심야노동 등 근로조건 개선 관련 청문회에서 선서하고 있다. <연합뉴스> |
◆ 쿠팡의 고용구조, 장점이 많은 만큼 책임도 크다
쿠팡은 플랫폼 기업인 동시에 물류 기업이며, 물류 기업 중에서도 특이하게 ‘직영’ 모델을 채택하고 있는 곳이다.
물류센터와 배송 인력을 외주화하지 않고 자체 고용하는 쿠팡의 구조는 빠른 의사결정, 노동자의 복지 보장이나 인력 관리 등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노동 문제가 발생하면 그 책임이 전적으로 기업에 집중된다는 단점도 있다.
특히 쿠팡의 인력 고용 형태가 주로 계약직, 아르바이트 등이기 때문에 쿠팡의 노동 문제를 직간접적으로 접하는 소비자들의 수도 많고, 이는 쿠팡의 노동 문제가 소비자 차원의 이미지 하락과 직결되는 결과를 낳기도 한다.
유통업계의 한 관계자는 “현지 물류센터 건설은 일자리 창출이라는 긍정적 효과를 진출 대상 국가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환영받는다”며 “하지만 산업재해 등이 발생했을 때 현지 기업들보다 더 강력한 제재나 국민적 저항에 부딪힐 가능성도 높다”고 말했다. 윤휘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