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리인상 4분기로 굳어져, 유일한 변수는 코로나19 재확산

▲ 한국은행 기준금리 추이. <한국은행>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시점이 앞당겨질까?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금리 인상시기를 앞당길 가능성을 내비치면서 한국은행이 4분기 기준금리 인상에 더욱 무게가 실리게 됐다. 

11월 기준금리 인상 혹은 이르면 10월로 앞당겨질 가능성도 제기되는데 하반기 코로나19 상황과 경제회복 속도가 변수로 꼽힌다.   

1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가 기준금리 조기인상 움직임을 보이면서 한 발 앞서 통화정책 정상화 신호를 보내고 있는 한국은행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은 2020년 5월 이후 1년째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 수준인 0.50%로 유지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이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와 관련해 이승헌 부총재 주재로 통화금융대책반 회의를 개최하고 대응방향을 논의했다.

이 부총재는 “예상보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가 매파 성향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통화정책 성향은 매파와 비둘기파로 나뉘는데 매파는 금리를 높이는 통화긴축정책을 선호하는 쪽이다.

김상훈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는 매파적이었다고 판단한다”며 “내후년 2차례 금리 인상 전망과 함께 내년 인상 가능성도 높아졌기 때문이다”고 바라봤다.

한국은행은 사실상 연내 금리 인상을 공식화하고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1일 한국은행 창립 71주년 기념사에서 하반기 역점사업을 설명하며 “경제 회복세가 예상된다면 현재의 완화적 통화정책을 적절한 시점부터 질서있게 정상화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5월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미국이 완화기조를 유지하는 상황에서 국내 통화정책을 조정하면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며 미국보다 선제적으로 금리를 올리겠다는 의지를 보이기도 했다.

미국발 통화정책 변화가 한국은행 금리 인상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오는 이유다. 시장은 금리 인상시점으로 4분기를 유력하게 보고 있지만 3분기 금리 인상을 예상하는 시각도 조심스레 고개를 든다. 

다만 금융통화위원회 일정을 고려하면 3분기 금리 인상은 다소 빠듯하다는 의견이 많다. 올해 남은 금융통화위원회는 7월과 8월, 10월과 11월 등 네 차례다. 이 중 11월 또는 이르면 10월 금리인상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글로벌 투자은행 JP모건은 16일 내놓은 보고서에서 금융통화위원회가 3분기에 금리 인상 소수의견을 제시하고 4분기에 만장일치로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전망했다.

연내 금리 인상 여부의 가장 큰 변수는 코로나19 상황이다. 올해 들어 국내외에서 백신 접종이 진행되면서 빠르게 경제회복세가 나타나고 있지만 여전히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등은 남아 있다.

한국은행이 최근 금융기관 종사자 8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금융시스템 위험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16%가 가장 큰 위험요인으로 코로나19 재확산과 백신 접종 지연을 꼽았다.

백신 접종으로 코로나19 확산세가 잡히지 않은 가운데 금리 인상이 이뤄지면 경제회복세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 한국은행이 코로나19 상황에 가장 주의를 기울이고 있는 이유다.

한국은행은 10일 발표한 통화정책보고서에서 성장과 물가 하방요인의 첫번째로 백신 접종 차질과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경제활동 정상화 지연을 들었다.

한국은행은 “국내경제 회복세가 강화되고 물가가 당분간 높은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이나 코로나19 전개와 관련한 불확실성이 잠재해 있다”며 “통화정책 완화기조를 유지하면서 코로나19의 전개 및 주요국의 경기 상황 등을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한국은행이 금리 인상을 하기 위해서 고용지표의 개선도 필요하다. 특히 취약계층의 고용사정이 나아지지 않으면 금리 인상의 충격이 클 수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4월과 5월 취업자수가 60만 명 이상 증가하며 일자리 회복세가 두드러진다. 하지만 체감실업률은 13.5%로 코로나 이전 수준인 10~11%대와 아직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주열 총재는 11일 창립기념사에서 “코로나19 전개상황, 경기회복의 강도와 지속성, 그리고 금융불균형 누적 위험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완화 정도의 조정시기와 속도를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16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는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동결했으나 금리 인상시점을 놓고 시각 변화를 내비쳤다. 18명 위원 중 2023년 금리인상을 전망한 위원은 이전까지 7명이었으나 이번 회의에서 13명으로 2배 가까이 늘었다.

심지어 2022년 인상을 예상한 위원도 기존 4명에서 7명으로 많아졌다. 아직 과반에는 이르지 않았으나 금리 인상시점을 앞당겨야 한다는 의견이 점점 많아지고 있는 셈이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