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그룹이 회장후보들에게 리스크 관리 주의보라도 내려야 할 모양이다.

김정태 회장이 내년에 물러나야 하는 상황에서 주요 경영진들이 악재에 휘말려 경영일선에서 이탈하는 일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하나금융 회장후보 리스크 주의보 내려야 하나, 돌발악재에 이탈 잦아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대표이사 회장.


8일 하나금융 관계자의 말을 종합하면 장경훈 전 하나카드 대표이사 사장이 부적절한 발언으로 논란을 빚어 사임하면서 하나금융그룹 안에서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하나카드는 지난해 순이익이 2배 이상 늘어났고 이런 공로를 인정받아 장 전 사장은 연임에 성공했지만 약 한 달 만에 자리를 떠나게 됐다.

장 전 사장도 넓게 보면 하나금융 회장후보군 가운데 한 명이었다. 하지만 이번 일로 사실상 회장후보 경쟁에서 배제된 것으로 파악된다.

이런 사례는 장 전 사장뿐만이 아니다. 이진국 전 하나금융지주 부회장도 하나금융 조직개편과 함께 물러났다. 이 전 부회장은 함영주 부회장과 함께 김정태 회장의 뒤를 이을 회장후보로 유력하게 거명되던 인물이다.

이 전 부회장은 하나금융투자 대표이사로 재직하면서 미공개정보를 활용해 주식거래를 한 선행매매 혐의를 받아 검찰수사를 받게 됐다. 이 때문에 하나금융투자 대표이사는 물론 지주회사 부회장 자리도 내려놓게 됐다는 시선이 많다.

다른 회장후보들도 여러 위험에 노출돼 있어 안심할 수 없다.

회장후보로 유력하게 꼽히는 함영주 하나금융지주 부회장은 하나은행장 시절 해외금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사태 책임으로 금융당국의 문책경고를 받고 징계 취소소송을 제기해 놓고 있다. 문책경고는 중징계로 3년 동안 금융권 재취업을 할 수 없다.

함 부회장은 채용비리 혐의로 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는데 기소된 지 3년이 다 돼 가지만 아직 1심 결과조차 나오지 않아 사법 리스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성규 하나금융지주 부회장 역시 이탈리아 헬스케어펀드 등 사모펀드 환매중단으로 금융당국의 제재를 받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김정태 회장이 1년 임기로 회장을 맡고 있는 하나금융지주의 사정을 감안하면 장 전 사장과 같은 돌발악재로 회장후보들이 퇴진을 해야 하는 상황은 뼈아플 수밖에 없다.

함영주 부회장은 하나은행 통합을 이끌었고 지성규 부회장은 해외사업 성장에 기여했으며 이진국 전 부회장과 장경훈 전 사장도 회사 실적만을 놓고 보면 부족함이 없었다.

이 때문에 하나금융 회장후보들은 성과 경쟁보다 리스크 관리가 더욱 중요하다는 말도 나오는 형편이다.

김정태 회장은 3월26일 하나금융지주 주주총회에서 연임을 확정했다. 다만 규정에 따라 만 70세를 넘겨 재직할 수 없어 임기는 1년 후인 2022년 3월 끝난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