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신공항 건설이 사실상 백지화하면서 코로나19 이후에도 김해공항이 실적 회복을 기약하기 어려워졌다. 

김해공항은 지방공항 가운데 드물게 좋은 실적을 내고 있는데 확장 기회를 놓치고 장기적으로 새로 만들어지는 동남권신공항에 수요를 빼앗겨 한국공항공사의 전체 실적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도 있다.
 
한국공항공사, 김해신공항 백지화로 몇 안 되는 흑자공항 잃을 위기

▲ 프랑스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i)이 2016년 영남권 신공항 타당성 조사 때 내놓은 '가덕도 신공항안'을 일부 수정해 부산시가 내놓은 2020년 가덕신공항 수정안. <연합뉴스>


18일 정치권과 한국공항공사 안팎의 말을 종합하면 코로나19 이후 항공 수요가 개선되도 한국공항공사가 이전 수준의 실적을 회복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시선이 나온다. 

김해신공항 건설사업이 원점으로 돌아가면서 한국공항공사가 김해공항의 수익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이 사실상 사라졌기 때문이다. 

김해공항은 한국공항공사의 실적에 기여하는 몇 안 되는 주요 공항 가운데 하나다. 

소병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공항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한국공항공사가 관리하는 지방 공항 14개 가운데 2020년 들어 8월까지 순이익을 낸 공항은 제주공항과 김포공항, 김해공항 단 3곳뿐이다. 

제주공항이 순이익 954억 원, 김해공항이 140억 원, 김포공항이 114억 원을 거뒀다. 반면 무안공항은 순손실 98억 원, 양양공항은 84억 원, 여수공항은 81억 원 등을 봤다. 

제주공항, 김해공항, 김포공항이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이용객 급감에도 순이익을 내며 그나마 선방하면서 한국공항공사는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순이익 636억 원을 거뒀다.

코로나19 이전을 살펴봐도 지방공항들의 실적은 크게 다르지 않다.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전국 지방공항 가운데 제주, 김해, 김포, 대구공항을 제외한 다른 10개 공항은 모두 순손실을 봤다. 

김해공항은 매출과 영업이익, 순이익은 해마다 증가세를 보이며 한국공항공사의 든든한 실적 버팀목이 됐다.

김해공항은 2016년 매출 1901억 원, 영업이익 1099억 원, 순이익 998억 원을 거뒀지만 2019년에는 매출 2542억 원, 영업이익 1360억 원, 순이익 1217원을 거두며 해마다 실적이 개선됐다. 

한국공항공사로서는 김해공항을 확장하는 ‘김해신공항 사업’을 통해 해마다 성장하고 있는 김해공항의 실적 증가를 기대하고 있었지만 정부가 사실상 김해신공항사업을 접으면서 이러한 기회가 사라진 셈이다. 

더불어민주당이 강하게 밀어붙이고 있는 부산 강서구 가덕도신공항이 설립되면 김해공항에 몰렸던 동남권 항공수요를 차지해 김해공항이 실적 후퇴를 겪을 가능성도 크다.

인천국제공항 사례를 비춰볼 때 새로 지어지는 가덕도신공항을 한국공항공사가 아닌 별도의 법인을 설립해 맡는 방안이 나온다면 한국공항공사의 전체 실적에 타격도 피하기 어렵다.

전재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7일 기자들에게 "인천국제공항이 특별법으로 추진됐기 때문에 이를 기초로 해서 국가재정사업이나 광역교통망 사업 등 여러 행정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었다"며 "국가 관문공항에 대해서는 특별법으로 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정부는 인천국제공항 건설사업을 추진하면서 인천국제공항공사법을 별도로 제정했고 이에 근거해 1999년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설립돼 지금까지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운영을 맡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동남권신공항추진단장을 맡은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실과 간사를 맡은 조응천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관계자들은 “아직 가덕도신공항 특별법과 관련해 구체적 사항을 말하기는 어려운 단계”라며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였다.

국무총리실 산하 김해신공항 검증위원회는 17일 김해신공항 타당성 검증결과를 발표하면서 "김해신공항안은 상당 부분 보완이 필요하고 미래변화에 대응하기 어렵다"며 "김해신공항 추진은 근본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사실상 백지화하는 의견을 내놨다. 

이에 더불어민주당은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한정애 정책위의장을 단장으로 하는 동남권신공항추진단을 구성해 ‘가덕도신공항 특별법’을 11월 안에 발의한다는 방안을 내놨다. 

최인호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은 17일 기자들에게 “지역의원들이 준비해 놓은 초안이 있어 이르면 다음주에는 발의할 수 있을 것 같다”며 “특별법 안에는 재정 확보, 행정 절차 등 신공항 건설일정을 당길 수 있는 내용이 담길 것이다”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지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