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코로나19로 한국경제 잠재성장률의 하방압력이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은행은 29일 발표한 ‘코로나19 이후 경제구조 변화와 우리경제 영향’ 보고서에서 “코로나19 이후 산업 및 노동구조 변화와 글로벌 교역 둔화 등으로 생산요소 투입이 부진해지면서 잠재성장률 하락추세가 가속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은행 "코로나19 뒤 한국경제 잠재성장률 하락추세 가속화"

▲ 한국은행은 29일 발표한 ‘코로나19 이후 경제구조 변화와 우리경제 영향’ 보고서에서 “코로나19 이후 산업 및 노동구조 변화와 글로벌 교역 둔화 등으로 생산오소 투입이 부진해지면서 잠재성장률 하락 추세가 가속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은행은 코로나19로 가계는 실업, 소득감소, 경제·사회활동의 제약에 따라 위험 회피성향이 커지고 기업은 감염 우려, 자가격리 등으로 생산차질을 겪으며 노동 의존도가 줄어들 것이라고 분석했다.

탈세계화, 디지털경제, 저탄소경제 등도 코로나19가 앞당길 경제환경 변화로 꼽혔다.

우선 이번 위기로 글로벌 공급망의 취약성이 부각되면서 각국이 자국우선주의 입장에서 보호무역주의, 역내교역, 인적교류 제한을 강화하고 이에 따른 탈세계화 현상이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 코로나19 위기 대응 과정에서 비대면을 통한 경제활동이 늘어나면서 디지털경제로 전환도 한층 빨라질 것으로 예상됐다.

한국은행은 “각국 정부도 디지털경제 전환기의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해 ICT(정보통신기술) 인프라 및 관련 산업에 적극 투자할 전망”이라며 “우리나라에서도 디지털 인프라 구축, 비대면산업 육성 등 ‘한국판 뉴딜’을 통해 기존의 신산업정책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코로나19 위기에서 어느 정도 벗어나면 감염병 위기와 비슷한 기후변화에 대한 각국의 관심이 커져 저탄소경제 전환을 위한 대책들도 강화될 것으로 한국은행은 내다봤다.

다만 ICT(정보통신기술)산업 투자 확대에 따른 생산성 향상은 잠재성장률 하락속도를 늦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은행은 “디지털경제·바이오헬스산업 관련 부분 생산성이 향상되면 파급효과가 경제전반에 미치며 생산성 정체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