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과 KT가 ‘꿈의 보안기술’로 불리는 양자암호통신 기술의 글로벌 우위를 선점하기 위한 경쟁에 속도를 내고 있다.

1일 SK텔레콤에 따르면 SK텔레콤은 양자암호통신 기술이 다가오는 4차산업혁명시대에 핵심적 역할을 할 것으로 바라보고 있다.
 
SK텔레콤과 KT, '궁극의 보안' 양자암호통신 선점 위한 경쟁에 속도

▲ 박정호 SK텔레콤 대표이사 사장(왼쪽)과 구현모 KT 대표이사 사장.


SK텔레콤 관계자는 “4차산업혁명시대에 온라인을 통해 유통되는 데이터의 양이 급격하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데 양자암호통신은 이 상황에서 보안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해 줄 수 있는 ‘궁극의 보안 기술’이라고 볼 수 있다”며 “아직 양자암호통신시장은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는데 자회사 IDQ의 우월한 기술력을 활용해 시장의 성장을 지켜보며 새로운 사업의 기회를 찾아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SK텔레콤은 자회사 IDQ를 통해 유럽과 미국 등 지역에서 양자암호통신 관련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IDQ가 현재 유럽연합(EU)의 ‘오픈 양자키 분배’사업에 양자키 분배기 1위 공급사로 참여하고 있으며 2019년 완료된 미국 최초 양자암호통신망(뉴욕~뉴저지 구간) 구축에도 참여했다. 미국은 이 암호통신망을 올해 워싱턴DC~보스턴(약 800km) 구간까지 확장할 계획을 세우고 있는데 여기에도 IDQ가 참여한다. 

SK텔레콤에 따르면 해외에서 양자암호통신과 관련해 좋은 실적을 낼 수 있는 이유는 SK텔레콤이 그동안 양자암호통신 기술에 국내 기업 가운데 최고 수준의 투자를 해왔기 때문이다.

SK텔레콤은 국내 대기업 최초로 2011년 양자기술연구소를 세웠고 2018년에는 스위스의 양자암호통신 관련 기업 IDQ를 인수하고 연구소를 IDQ와 통합했다.

SK텔레콤이 해외에서 양자암호통신 관련 사업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면 KT는 국내 공공부문의 양자암호통신 관련 사업에서 두각을 보이고 있다.

KT는 최근 한국정보화진흥원(NIA)에서 발주한 초연결 지능형 연구개발망의 양자암호통신망 구축·운영 사업자로 선정됐다. 

KT는 이 사업을 통해 서울~수원 구간에 공공기관과 지방자치단체의 연구원들이 각종 정보통신기술(ICT)을 개발하는데 활용되는 양자암호통신망을 설치하게 된다.

KT 관계자는 "이 사업에 참여하는 것이 앞으로 해외에서 다양한 양자암호통신 관련 사업을 수주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SK텔레콤과 KT는 양자암호통신 관련 사업 참여 뿐 아니라 ‘글로벌 표준’ 채택에서도 경쟁하며 실력을 키워나가고 있다. 

양자암호통신 기술은 아직 완전한 상용화 단계에 들어섰다고 말하기 어려운 기술이기 때문에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국제표준을 선점하는 것이 중요하다.

SK텔레콤의 양자키 분배 관련 기술은 2020년 3월말 ITU-T(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 부문) 회의에서 국제표준으로 최종 승인됐다. 2019년 9월 초 열렸던 ITU-T 회의에서는 SK텔레콤이 제안한 양자 난수발생기 보안구조 관련 권고안이 국제표준으로 예비승인되기도 했다.

KT 역시 양자암호통신 관련 국제표준을 선점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KT에 따르면 세계 900여 개의 ITU(국제전기통신연합) 회원사 가운데 가장 많은 양자암호통신 관련 기고서 실적(34건)을 보유하고 있다.  

KT가 참여하는 한국정보화진흥원의 양자암호통신망 구축사업에 적용되는 ‘개방형 계층구조 표준’ 역시 KT가 ITU에 제안해 2019년 10월에 정식으로 채택된 기술이다. 

ITU는 2019년 9월 산하기관으로 양자통신 포커스그룹(FG QIT4N)을 신설했는데 KT는 국내기업 가운데 유일하게 설립에 참여하기도 했다.

양자암호통신 기술은 0과 1이라는 두 가지 값을 동시에 지닐 수 있는 중첩성과 한번 값이 측정되면 원래 상태로 돌아올 수 없는 비가역성이라는 양자의 특성을 보안에 활용하는 기술이다. 

수신자가 아닌 제 3자가 정보를 확인하는 순간 양자로 구성된 데이터단위인 ‘큐비트’는 양자의 성질을 잃고 전자적 상태로 돌아가 침입자가 정보를 알아낼 수 없게 만든다.

또한 정보를 누군가가 확인하려했다는 사실을 정보의 수신자와 송신자가 바로 알아차릴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정보를 수정하거나 폐기하는 등의 대책을 마련할 수 있게 된다. [비즈니스포스트 윤휘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