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신규 온라인 동영상서비스(OTT) ‘시즌(Seezn)’을 출시했다.

KT는 28일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KT스퀘어에서 신규 모바일 미디어서비스 시즌 출시 기념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KT 새 온라인 동영상서비스 '시즌' 내놔, 구현모 "모바일미디어 표준"

▲ 김훈배 KT 뉴미디어사업단 단장이 28일 서울 종로구 KT스퀘어에서 열린 '시즌' 출시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시즌의 새로운 서비스를 설명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간담회에는 구현모 KT 커스터머·미디어부문장 사장, 김훈배 KT 뉴미디어사업단 단장, 조훈 지니뮤직 대표이사 등이 참석했다.

KT에 따르면 시즌은 5G통신과 인공지능을 바탕으로 모바일환경에서 영상콘텐츠를 실감나고 편하게 즐길 수 있는 서비스다.

KT는 다른 온라인 동영상서비스와 시즌의 차별화를 위해 티빙, 웨이브 등 다른 온라인 동영상서비스에서 활용하고 있는 요금제에 따른 화질 제한을 없앴다.

KT에 따르면 시즌의 가장 낮은 월정액 요금제인 ‘플레인’ 요금제를 이용하더라도 최대 4K UHD급 화질의 영상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스포츠 중계에서 가장 중요한 지연시간(레이턴시)을 1초대로 단축했다. KT에 따르면 이는 국내 모바일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가운데 가장 빠른 수준이다.

또한 모바일 최적화 솔루션인 ‘VSS 슈퍼사운드’를 적용해 영화, 스포츠, 음악 등 각각의 장르에 가장 잘 어울리는 음향효과를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KT는 음원 전문 계열사인 지니뮤직과 힘을 합쳐 시즌에서 영상을 보다가 바로 지니뮤직 애플리케이션(앱)에서 음악을 들을 수 있는 ‘보고 듣는 OTT’ 서비스도 제공한다. 또한 국내 최초로 사용자의 얼굴 표정을 분석해 기분에 맞는 콘텐츠를 추천하는 ‘내 감정을 읽는 스캐너 검색’ 서비스도 선보인다.

영상의 제목이 기억나지 않을 때 영상 속 상황이나 장면을 설명하는 단어를 조합해 영상을 검색하는 ‘스토리텔링 장면 검색’ 기능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밴드, 옥상, 연주 라는 3개의 단어를 조합해 검색하면 영화 ‘비긴어게인’ 등 밴드가 옥상에서 연주하는 장면이 있는 콘텐츠를 찾을 수 있다. 

콘텐츠도 풍부하게 제공된다. 시즌을 이용하는 고객은 종합편성 채널과 CJ계열 채널, 스포츠중계 채널 등 110여개의 실시간방송을 시청할 수 있으며 지상파3사의 방송콘텐츠를 포함해 모두 20만여 편의 주문형 비디오(VOD)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2030세대를 공략할 수 있는 자체제작 콘텐츠도 마련했다. KT는 24시간 라이브 예능 ‘밀실의 아이들’ 시즌2, 참여형 음악 예능 ‘히든트랙’, 가상현실 드라마 ‘고스트브로스’, 고민상담 음악 토크쇼 ‘고막메이트’, 공연장에서 제작되는 ‘윤딴딴의 자취방’ 등 오리지널 콘텐츠를 시즌에서 독점제공한다. 

최근 디스커버리와 합작으로 설립한 조인트벤처(JV)에서 제작하는 콘텐츠 역시 시즌에서 맨 처음 공개된다. KT는 시즌앱 내부에 ‘디스커버리 UHD 전용관’을 개설하고 디스커버리와 공동제작한 콘텐츠를 시즌에서 공개할 계획을 세웠다.

또 중국 차이나모바일의 콘텐츠 담당 계열사인 미구와 손잡고 두 회사의 콘텐츠를 교류하면서 2020년에는 중국시장에 KT의 콘텐츠를 확산한다는 방침도 마련했다.

시즌의 월정액 요금제는 △플레인(월 5500원) △플레인 플러스(월 8800원) △믹스(월 9900원) △믹스플러스(월 1만3200원) 등 4가지로 구성됐다. 

KT는 시즌 출시를 기념해 12월1일부터 플레인상품에 처음 가입하는 고객에게 첫 달 이용료를 면제해주는 프로모션도 진행한다. 또한 내년 상반기까지 ‘믹스’형 요금제에 가입하는 고객에게는 월정액 콘텐츠팩과 주문형비디오를 이용할 수 있는 1만1쳔원 상당의 캐시를 제공한다. 

KT는 KT의 모바일 이용고객에게 믹스플러스상품을 2200원 할인해 월 1만1천 원에 제공하는 프로모션도 진행한다. 

구현모 사장은 “KT는 인터넷TV(IPTV)와 인공지능TV에 이어 모바일미디어에서도 국내시장의 트렌드를 이끌기 위해 지난해 말 뉴미디어사업단을 신설하고 1년 동안 야심차게 시즌을 준비했다”며 “이번에 KT가 내놓은 시즌은 KT그룹의 미디어시너지를 극대화한 결과물로 5G시대가 필요로 하는 차세대 모바일미디어의 표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윤휘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