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은행이 올해 역대 최대규모의 채용을 실시하며 전문 분야 역량과 자격을 갖춘 지원자를 선별해 채용하는 맞춤형 인재 선발의 비중을 확대한다.

외부에서 능력을 검증받은 지원자를 우대해 채용 과정의 객관성을 높이며 지난해 은행권을 강타한 채용비리 사태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를 도입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신한금융, 채용방식 대대적 손질해 '채용비리' 발 붙이지 못하게 한다

▲ 서울 중구 신한은행 본사.


27일 신한은행에 따르면 10월부터 디지털 직무와 전문 분야 맞춤형 수시채용 절차가 진행된다.

9월 말 접수를 마감하는 하반기 공개채용과 합쳐 모두 380명이 입사 기회를 얻게 된다.

신한은행이 상반기에 채용한 630명을 합치면 올해 신입직원은 1천 명 이상으로 지난해보다 약 12% 많다. 상위 5개 은행의 올해 채용규모가 3천 명 초중반대로 작년보다 약 10% 줄어든 점과 상반된다.

공채와 별도로 진행되는 신한은행의 맞춤형 인재 수시채용 규모가 확대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맞춤형 인재 채용은 정보통신기술(ICT) 특성화고 출신 지원자를 위한 특별전형을 새로 도입하거나 IT기술 경진대회 입상자, 특정 직무 관련된 교육프로그램 수료자 등을 우대해 선발하는 방식이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디지털 직무는 대부분 수시채용 방식으로 바뀌어가고 있다”며 “채용인원이 꾸준히 늘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한은행이 올해 채용방식에 변화를 추진하는 것은 지난해 신한금융그룹을 포함한 한국 금융권을 휩쓴 채용비리 논란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신한은행과 신한카드, 신한생명 등 계열사에 일부 지원자가 부정한 청탁으로 특혜를 받아 입사했거나 채용 과정에서 성별 등 조건으로 차별이 이뤄졌다는 의혹이 불거졌기 때문이다.

신한은행에 입사하려는 구직자와 사회의 신뢰를 되찾아야 하는 과제도 중요하다.

이런 상황에서 신한은행이 경진대회와 교육과정 등을 통해 외부에서 능력을 검증받은 지원자의 채용을 확대하는 것은 객관성을 강화해 채용비리 발생 위험을 낮추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신한금융투자 등 다른 계열사는 채용 과정에 인공지능 기반 면접을 도입하는 등 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신한금융그룹은 여성가족부와 공동으로 채용 과정에 성차별이 발생하지 않도록 감시를 강화한다는 내용을 담은 자율협약도 맺었다.

지난해 말부터 신한금융그룹 채용시스템을 전반적으로 탈바꿈하는 작업을 추진해 왔는데 이런 변화가 점차 채용 과정에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채용비리 사태 이후에는 새로 도입한 가이드라인에 맞춰 채용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 주요 은행은 채용비리 사태 이후 블라인드 채용방식을 도입하거나 채용 과정을 완전히 외부에 위탁하는 등 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신한은행도 직무와 관련 없는 요소는 지원자 선발 평가에서 제외하도록 하는 등 공정성을 강화하려는 노력을 이어오고 있다.

투자금융이나 자금운용, 리스크 관리 등 특정 분야에 전문성을 갖춘 인력을 관련된 부서의 의견을 반영해 채용하는 맞춤형 전문인재 채용방식 도입도 검토되고 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직무 전문성과 다양성을 모두 갖춘 인재를 채용하려 지속적으로 변화를 시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