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중공업이 탈원전정책으로 타격을 입은 원전사업의 빈 자리를 메우기 위해 가스터빈사업과 풍력발전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 

두산중공업은 미래 먹거리사업으로 투자해오던 가스터빈과 풍력발전사업이 정부의 친환경정책으로 수주기회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두산중공업, 가스터빈과 풍력발전의 새 성장동력 가능성 자신붙어

▲ 박지원 두산중공업 대표이사 회장.


27일 두산중공업에 따르면 가스터빈 개발과 관련해 9월 대조립 단계를 앞두고 있다.  대조립은 부품 단위로 기기들을 완성해 전체를 조립하는 단계이다.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대조립 단계가 완료되면 자체 설비를 통해 시험을 마치고 실제 발전소에 설치해 실증단계를 거쳐 2023년부터 상용화할 수 있을 것”이라며 “올해 안에 실증단계 테스트를 위해 김포열병합 발전소와 계약을 맺을 것”이라고 말했다. 
 
두산중공업은 2013년부터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기술평가연구원 등과 함께 국책과제로 가스터빈 개발을 추진해왔다.

글로벌 대형 가스터빈시장은 지금까지 일본 미쓰비시, 미국 GE, 독일 지멘스 3사가 과점해왔지만 두산중공업이 자체기술을 개발하면 세계에서 4번째로 대형 가스터빈 기술을 보유하게 된다.

두산중공업은 가스터빈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보고 약 1조 원 가까운 비용을 가스터빈 개발에 투자하고 있다.

가스터빈은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의 심장과 같은 핵심부품인데 액화천연가스발전소는 정부의 친환경정책에 힘입어 늘어나고 있다.

정부는 2017년 12월 수립한 ‘제8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을 통해 국내 액화천연가스 발전설비를 2017년 37.4GW(기가와트)에서 2030년 47.5GW까지 늘리기로 했다.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2030년까지 10GW가량 설비가 증가해 가스터빈 신규시장이 생길 것”이라고 기대했다.  

가스터빈시장은 2017년 예측했던 것보다 더 커질 가능성도 있다. 정부는 6월 ‘3차 에너지 기본계획’에서 신규 석탄발전소 건설을 금지하고 노후 석탄발전소는 수명을 연장하지 않는 방식으로 ‘석탄발전 감축정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정부가 올해 말에 발표예정인 ‘9차 전력수급기 본계획’에서도 노후 석탄발전소의 대안으로 액화천연가스발전소 설비를 기존보다 더 확대하는 정책을 펼칠 것으로 예측된다.

윤요한 산업통상자원부 전력산업과장은 27일 국회기후변화포럼에서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미세먼지와 온실가스 감출을 위해 석탄의 액화천연가스(LNG) 대체 규모와 일정을 제시해 석탄발전 감축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일본 수출규제 영향으로 기술 안보 차원에서 발전 기자재를 국산화해야한다는 의견이 대두되며 두산중공업의 가스터빈 사업이 수혜를 받을 가능성도 있다.

국내 액화천연가스발전소는 지금까지 해외업체의 가스터빈을 수입해 사용해왔는데 절반 이상이 일본 미쓰비시사의 가스터빈을 사용해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석광훈 녹색연합 전문위원은 27일 국회기후변화포럼 토론회에서 “일본, 미국, 독일에 의존하는 가스터빈 등 발전 기자재 국산화 정책목표를 정부의 '9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에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가스터빈은 설치 이후 부품 점검과 교체 등의 사후관리도 중요한 만큼 국산기술을 사용해 대외 의존도를 줄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두산중공업이 개발 중인 가스터빈이 일본제품의 대안으로 떠오를 수 있다. 게다가 신규 발전소 뿐 만 아니라 기존 발전소에서도 가스터빈 교체시기가 다가와서 국내 가스터빈시장은 더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2018년 1월 기준으로 국내에 가스터빈은 149기가 설치돼 있는데 그 중에 1990년대에 설치된 노후 가스터빈이 55기이다”며 “가스터빈의 수명이 통상적으로 3,40년 인 것을 고려하면 교체시기가 다가오고 있다”고 말했다. 

가스터빈은 기존에 설치됐던 제품과 동일한 제품을 설치해야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정부는 수입산보다는 국책과제로 개발해온 두산중공업의 가스터빈으로 교체할 가능성이 나온다. 

두산중공업은 풍력발전 설계 및 시공에서도 가시적인 성과를 눈앞에 두고 있다.

가스터빈사업은 개발단계이지만 풍력발전은 이미 상용화단계에 진입했다. 두산중공업은 2016년 10월 탐라해상풍력발전단지를 국내 최초로 건설한 기술력을 앞세워 해상 풍력발전에서 사업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두산중공업은 올해 11월 완공을 목표로 60MW(메가와트) 규모의 서남해해상풍력단지 1단계 공사로 풍력발전설비 20기를 설치 중이다.

애초 정부의 계획대로 서남해해상풍력개발사업이 3단계까지 추진되면 설치규모도 2.5GW로 확대된다. 업계에서는 국내 최대규모의 서남해해상풍력개발사업이 성공적으로 시행되면 국내 해상 풍력발전사업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바라보고 있다.

정부뿐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의 풍력발전 지원정책도 두산중공업에게 우호적 요소다.

창원시와 경상남도는 26일 “미래 성장동력인 풍력산업 활성화를 위해 국내 최초로 풍력시스템 너셀 테스트베드 구축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창원시는 400억 원을 들여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 동안 15MW급 초대형 풍력시스템 테스트베드 시험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마산합포구 가포신항 배후단지에 실증센터와 기업지원센터를 설립한다. 

창원시 관계자는 "지금까지 풍력발전 설비를 테스트하는데만도 해외에 들고 나가야 해서 몇 억 원씩 들었는데 테스트베드가 구축되면 두산중공업을 포함해 국내 기업들의 비용 절감효과가 클 것”이라고 설명했다. 

두산중공업이 가스터빈과 풍력발전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것은 그 동안 두산중공업의 실적을 떠받치던 원자력발전과 석탄화력발전 수주가 국내외의 탈원전정책으로 줄었기 때문이다. 

두산중공업의 수주잔고는 2016년 17조9283억 원에서 2018년 16조4022억 원까지 8.51% 감소했다. 

두산중공업은 이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2023년까지 신재생, 가스터빈, 발전서비스 등 신사업 수주를 전체 수주금액의의 50%까지 확대하고 국내실적을 바탕으로 해외시장으로 진출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친환경 재생에너지는 아직 국내에서 실적을 쌓는 단계이지만 석탄화력발전이나 원자력발전 사업이 그랬듯이 해외시장에서 글로벌 플레이어 역할을 해야 한다”며 “풍력발전이나 가스터빈사업도 국내시장의 실적을 발판으로 해외시장을 진출하기 위해 준비중”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석현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