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은행이 일본 정부의 경제 보복 조치에 따른 한국과 일본의 갈등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일본은 신한은행의 주요 해외 거점인 데다 신한금융그룹 차원에서도 상징적 의미가 큰 국가인 만큼 두 나라의 정치적·경제적 갈등이 장기화할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신한은행, 경제보복 둘러싼 한국과 일본 갈등 장기화할까 촉각

▲ 신한은행 기업로고.


8일 신한은행에 따르면 최근 신한베트남은행의 약진으로 주요 해외사업 거점이 일본에서 베트남으로 옮겨가고 있다.

하지만 신한은행이 일본에서 직·간접적으로 맺고 있는 끈끈한 관계는 여전한 것으로 보인다. 

SBJ은행은 신한은행이 2009년 100% 출자해 세운 일본법인으로 일본 도쿄, 오사카, 후쿠오카 등에 지점 10곳과 환전소 4곳을 운영하고 있다. 한국 금융회사의 유일한 일본법인이자 일본에서 외국계 법인으로는 씨티은행에 이어 두 번째다.

SBJ은행은 지난해 순이익 649억 원을 거둬 신한은행 글로벌 순이익의 20%를 차지했으며 자산규모는 신한은행 글로벌 자산의 25%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올해 1분기 기준 국가별 자산운용 현황을 살펴보면 신한은행의 일본 운용자산(대출금+유가증권) 규모는 62억3천만 달러로 중국(52만4300만 달러), 베트남(42억6600만 달러) 등을 제치고 가장 투자금액이 컸다.

신한은행의 국가별 자금조달 편중도를 살펴보면 올해 3월 말 기준 한국 28.24%, 일본 23.83%, 중국 13.3%, 미국 6.69%, 영국 2.95% 등으로 국내를 제외하면 일본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컸다.

진옥동 신한은행장은 3월 취임 간담회에서 “국내 리스크가 발생했을 때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기축통화지역의 똘똘한 채널이 있어야 한다”며 “일본에 설립한 SBJ은행은 신한은행이 안정적으로 엔화를 조달하는 데 상당한 역할을 담당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그룹 차원에서도 일본은 주요 거점이다. 신한금융지주는 미국, 베트남, 일본, 영국에 각각 IB데스크를 두고 글로벌 투자금융(IB)시장 진출을 꾀하는 등 일본을 주요 해외 거점으로 삼고 있다.

이처럼 일본은 신한은행의 글로벌 진출의 첫 단추이자 성공적 사례로 꼽히는 국가였지만 최근 한일 관계가 경색되면서 썩 달갑지 않은 상황을 맞게 됐다. 

일각에서 일본이 반도체 소재 수출제한 등에 이어 송금규제 등 금융부문의 추가적 경제보복 조치를 내놓을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두 국가의 갈등 양상이 장기화하면 SBJ은행의 현지영업에도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말도 나온다.

문재인 대통령과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이 일본의 무역제한 조치에 적극 대응하겠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는 반면 NHK 등 일본 언론은 일본 정부에서 기대하는 움직임이 한국정부에서 나오지 않으면 추가 무역제한조치를 확대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과거 중국 정부의 ‘사드 보복조치’ 때도 볼 수 있듯이 정치적 갈등이 장기화하면 제조업 및 유통업뿐 아니라 직·간접적으로 현지법인의 영업력에 상당한 위축을 불러올 가능성이 높다.

신한은행은 1982년 재일교포들이 자본금 250억 원을 투자해 세운 국내 최초의 순수 민간은행이다. 2001년 신한금융지주를 세우며 지주회사체제로 전환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현재까지 특별한 이슈가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며 "다만 앞으로 이러한 상황이 지속될 때를 대비해 시장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