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네이버 데이터센터 건립이 무산된 뒤 전국 지자체들이 데이터센터 유치경쟁에 뛰어들고 있다.

데이터센터를 중심으로 주위에 들어설 정보통신(IT) 관련 기업들의 일자리 창출과 첨단산업도시라는 도시 브랜드 구축 등을 기대하고 있다.
 
용인이 거부한 네이버 데이터센터, 다른 지자체 유치경쟁 활발

▲ 강원도 춘천시에 건립된 네이버 데이터센터 '각' 전경. <연합뉴스>


5일 네이버와 여러 지자체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해보면 전국 10여 곳의 지자체에서 네이버 데이터센터 유치를 바라는 것으로 파악된다.

데이터센터는 4차산업시대에 나오는 각종 데이터를 보관하는 대량의 서버와 장치들이 들어서는 곳이다. 

네이버는 강원도 춘천시에 지은 첫 데이터센터 ‘각’에 이어 경기도 용인시에 5400억 원을 들여 두 번째 데이터센터 설립을 추진했다.

하지만 데이터센터가 들어설 용인시 공세동의 주민들이 전자파와 환경오염 등 이유를 들며 건립을 반대해 계획을 모두 철회하고 새 후보지를 찾고 있다.

충청북도 충주시와 제천시는 4일 네이버에 데이터센터를 유치하겠다는 의사를 전달했다.

경기도에서도 수원시와 안양시를 비롯해 지역 균형발전을 내세우는 북부지역의 의정부시, 파주시, 포천시 등에서 데이터센터 유치를 강하게 바라고 있다.

강원도 강릉시, 경상북도 포상시, 전라북도 군산시, 대전광역시, 인천광역시 등도 데이터센터를 유치하겠다며 경쟁에 뛰어들었다.

다른 여러 지자체에서도 데이터센터 유치를 검토하고 있거나 각 지역언론 등을 통해 데이터센터 유치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용인시에서 주민들의 강한 반대로 데이터센터 건립이 무산된 것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다.

여러 지자체의 데이터센터 유치경쟁을 놓고 정보통신산업의 생태계 조성과 도시 브랜드 구축 등 파급효과가 기대되기 때문에 지자체들이 나섰다는 관측이 나온다.

데이터센터는 많은 시설이 무인화되고 원격으로 조정돼 직접적 고용 창출효과는 적지만 네이버라는 정보통신 대표기업의 중요 시설이 들어섬으로써 주변에 크고 작은 관련 기업들이 모여들어 판교 IT벨리처럼 첨단산업단지가 조성되는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단순히 데이터센터만 유치하는 것으로는 주민들을 설득하기 힘들다”며 “네이버의 자회사와 분석센터 등이 같이 들어온다면 적극적으로 데이터센터 유치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대전시는 4차산업혁명을 선도한다는 측면에서 네이버 데이터센터의 상징적 의미를 높게 평가하고 있다. 대전시가 육성하려는 인공지능(AI)이나 빅데이터 등 첨단산업에 네이버 데이터센터가 핵심역할을 한다고 본다.

대전시 관계자는 “네이버 데이터센터는 그 존재 자체로 연관산업을 견인하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각 자치단체들은 네이버가 데이터센터를 통해 납부하는 지방세도 열악한 지방재정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춘천시에 따르면 네이버는 데이터센터 '각'을 춘천시에 건립한 뒤 2018년 66억 원 등 8년 동안 모두 325억 원의 지방소득세를 춘천시에 납부했다. 연평균 약 46억 원에 이른다.

‘각’의 2.5배 수준인 제2데이터센터는 지자체에 연간 80억~90억 원의 지방세를 납부할 것으로 전망된다.

네이버는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네이버 관계자는 “많은 곳에서 관심을 보이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정해진 것은 없다”며 “원점에서 데이터센터 건립 후보지를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구글이나 해외기업들이 한국 관련 사업을 위해 서울이나 수도권에 데이터센터를 짓는 것을 볼 때 네이버 데이터센터가 수도권에서 벗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정보통신업계의 한 관계자는 “처음 부지였던 용인시 공세동도 성남시에 있는 네이버 본사와 거리를 고려했을 것”이라며 “데이터센터가 본사와 가까울수록 관리에 유리한 점이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남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