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시간 배터리를 생각한다. 배터리사업 만큼은 매주 직접 진도를 확인한다.” 

김준 SK이노베이션 대표이사 총괄사장이 27일 기자간담회 중 업무시간을 얼마나 배터리에 쓰냐는 질문에 한 말이다. 그만큼 전기차 배터리 사업이 SK이노베이션 미래 전략의 핵심이라는 뜻이다.
 
[오늘Who] 김준, 전기차배터리로 SK이노베이션 '독한' 혁신 내걸다

김준 SK이노베이션 총괄 사장이 27일 SK이노베이션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행복한 미래를 위한 독한 혁신'이라는 제목의 성장전략을 발표했다.


김 사장은 기자간담회에서 "배터리사업을 2025년까지 글로벌 탑3에 진입할 것"이라고 밝히며 배터리 관련 사업의 성장 가능성을 거듭 강조했다. 

이날 SK이노베이션 기자간담회에서 ‘행복한 미래를 위한 독한 혁신’이라는 성장전략을 발표했다. 화학, 석유, 소재사업 등의 미래전략을 소개했는데 핵심은 전기차 배터리사업과 이를 기반으로 한 플랫폼 확장사업, 에너지저장장치사업 등이었다.

배터리사업을 2025년까지 글로벌 톱3에 진입한다는 목표에 맞춰  세계 최초로 차세대 배터리 핵심기술인 NCM9½½을 상용화해 글로벌 자동차업체에 공급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NCM9½½ 은 니켈, 코발트, 망간 비율을 90%, 5%, 5% 로 맞춰 1회 충전에 최소 500km 이상을 달릴 수 있도록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SK이노베이션은 2025년까지 배터리 수주규모를 700GWh까지 확대할 계획을 세우고 중국, 헝가리, 미국 쪽에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김 사장은 "2025년까지 생산량을 100GWh까지 맞춰서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며 "지속적으로 수주잔량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SK이노베이션은 전기차 배터리 생산사업만이 아니라 배터리를 기반으로 새로운 서비스 플랫폼을 만드는 전략 BaaS(Battery as a Service)를 발표했다.

BaaS는 배터리를 수리하거나 대여, 재사용 하는 전반적인 서비스사업을 아우르는 개념이다. 배터리를 대여해서 사용하거나 배터리를 재활용해 사용하는 사업모델이 생기면 환경부담도 줄일 수 있다. 

김 사장은 “BaaS를 통해 배터리의 수명을 관리하는 방향으로 서비스를 개발하면 전기차용 배터리 공급비용을 낮춰 전기차가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배터리사업의 기반으로 에너지저장장치(ESS)사업으로 확장할 뜻도 내비췄다. 산업용, 주거용으로 세분화된 시장 특성에 맞춰  배터리를 개발하고 여기에 맞는 효율적 에너지저장장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가상발전소, 에너지 경영시스템, 에너지저장 등 다양한 후방사업모델도 개발해 종합적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해 나간다는 것이다.

배터리 관련 사업인 배터리 분리막(LiBS)사업도 중국과 폴란드 이외에 글로벌 생산기지를 추가로 증설해 2025년까지 시장 점유율 30%로 세계 1위를 달성한다는 계획도 내놓았다.

김 사장은 이처럼 전기차 배터리사업을 미래 성장전략의 핵심으로 내세우며 관련 사업의 확장을 추진한다. 

석유화학과 정유사업은 SK이노베이션의 주요사업이지만 유가 등 외부 변수에 크게 영향받는다. 김 사장은 2017년 취임 때 SK이노베이션의 정유사업을 짧은 호황기와 긴 침체기를 갖는 알래스카의 여름과 겨울에 비교한 바 있다.

알래스카의 겨울을 버틸만큼 SK이노베이션의 기업 생존력을 갖췄으니 이제 경영 전쟁터를 약육강식의 아프리카 초원으로 옮겨 지속적 성장을 꾀하자는 뜻이다.

전기차 배터리 제반사업은 기술 경쟁이 치열하지만 성장 가능성이 풍부하고 일단 시장에 자리 잡으면 안정적으로 수주받을 수 있다. 김 사장이 주장한 아프리카 초원과도 같은 경쟁세계인 셈이다. 

김 사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이제는 아프리카 초원에서 생태계가 행복할 오아시스를 파겠다고 선언했다. 그만큼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자리잡았다는 자신감을 보인 것이다.

SK이노베이션은 배터리,소재, 화학 등 성장사업에 대한 투자를 지속해 이 사업의 자산 비중을 현재 30%에서 2025년 60%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또 전기차 배터리 제반사업은 SK그룹이 최근 추구하는 사회적 가치 경영이라는 대의와도 부합된다. 친환경의 상징인 배터리사업의 경쟁력을 키워 이 경쟁력을 기반으로 에너지 솔루션 등 다양한 사업영역을 확대하려는 이유다.

김 사장은 “에너지화학기업은 특성상 환경과 관련한 사회적 가치가 마이너스가 될 수 밖에 없다”며“에너지저장장치사업과 배터리 재활용사업 등 관련사업을 다양한 방식으로 친환경사업으로 끌고 가려 한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독한 혁신이 그리는 미래 초원 생태계는 행복한 오아시스를 만드는 것”이라며 “혼자서만 게임을 해서 행복해지겠다는 것이 아니라 우리를 둘러싼 고객, 이해관계자, 이 산업이 공존할 수 있는 초원의 생태계를 만들려 한다”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석현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