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반도체기업이 D램시장 진출에 강력한 의지를 보이고 있어 미국 마이크론과 협력할 수 있다고 외국언론이 전망했다.

중국과 미국의 반도체 협력이 현실화하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강력한 위협이 될 수 있다.
 
중국 반도체기업, D램 진출 위해 미국 마이크론과 협력 추진

▲ 중국 푸젠진화의 반도체공장 조감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는 10일 "중국 푸젠진화가 마이크론과 반도체사업에서 협력을 노리고 있다"며 "예상하기 어려웠던 일"이라고 바라봤다.

파이낸셜타임스는 관계자를 인용해 푸젠진화가 마이크론에 공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대가로 반도체 기술과 생산 노하우를 전수받는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푸젠진화가 중국 정부의 막대한 지원을 받아 대규모 생산투자를 이어가고 있지만 반도체 기술 부족으로 D램시장에 진출이 어려워진 데 따른 전략으로 분석된다.

중국 주요 반도체기업인 푸젠진화는 D램시장 진출을 목표로 연구개발과 시설투자를 지속해왔다.

하지만 최근 마이크론이 반도체 기술을 도용했다는 혐의로 푸젠진화에 소송을 제기하면서 D램시장 진출계획에 큰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미국 정부는 중국과 무역 분쟁을 벌이면서 푸젠진화가 미국 반도체장비를 수입하거나 해외 반도체기업과 기술협력을 하기 어렵도록 제재를 강화하면서 마이크론에 힘을 실어줬다.

이런 상황에서 푸젠진화가 마이크론과 협력을 추진하는 것은 예상하기 어려웠던 일이다.

파이낸셜타임스는 관계자를 인용해 "마이크론은 푸젠진화와 협력을 통해 수조 원의 생산투자 비용을 아낄 수 있다"며 "매우 매력적 제안이 될 것"이라고 바라봤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중국을 상대로 무역제재를 강화하고 있는 점이 변수로 꼽힌다.

미국이 중국의 반도체사업 진출계획을 경계하고 있는 만큼 미국 반도체기업이 중국과 손을 잡는 일을 막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푸젠진화는 반도체사업과 관련한 제재에서 벗어나기 위해 미국 정부를 적극적으로 설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마이크론과 푸젠진화가 실제로 손을 잡는다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한국 반도체기업에는 강력한 위협이 될 수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D램사업에 대부분의 실적을 의존하고 있는 만큼 경쟁사인 마이크론이 생산 능력을 확대하거나 중국 반도체기업이 새로 시장에 진출하면 큰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파이낸셜타임스는 관계자를 인용해 "푸젠진화는 유럽 등 일부 지역에서 반도체사업을 할 계획이어서 마이크론에 위협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미국 정부를 설득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