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가 2019년 건설현장의 안전감독 강화에 행정역량을 집중하기로 하면서 건설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포스코건설과 대우건설, GS건설 등 현장 노동자 사망사고로 꾸준히 구설수에 오르고 있는 대형 건설사들은 긴장의 끈을 더욱 강하게 죌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건설 대우건설 GS건설, 고용부 안전감독 강화에 바짝 긴장

▲ 산재사망대책마련 공동캠페인단이 4월24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포스코센터 정문 앞에서 '2019 최악의 살인기업 선정식'을 진행하고 있다. <노동건강연대>


6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산재예방보상정책국이 올해 건설현장의 안전상태를 집중적으로 감독하는 것은 건설현장 사고를 잡지 못하면 산업재해에 의한 전체 사고 사망자 수를 줄이기 쉽지 않다는 판단 때문이다.

2018년 산재에 따른 사고 사망자 수는 971명으로 이 가운데 건설업이 485명으로 전체의 50%를 차지했다. 2017년 52%보다는 2%포인트 하락했지만 건설업은 여전히 산재에 따른 사고 사망자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업종이다.

건설업은 2018년 ‘사고사망만인율’도 1.65로 2위인 제조업 0.52보다 3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사고사망만인율은 노동자 1만 명당 산재에 따른 사고 사망자 수를 나타내는 지표로 높을수록 위험하다.

문재인 정부는 원청의 책임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산업안전보건법을 개정하는 등 현장 노동자의 안전강화를 위해 힘쓰고 있지만 2018년 산재에 따른 사고사망자 수는 971명으로 2017년 964명보다 소폭 늘었다.

고용노동부는 산재보험 적용 확대에 따른 제도개선 효과 등을 증가 원인으로 들었지만 2018년 새롭게 산재보험을 적용받는 사업장에서 발생한 사고 사망자 수가 10명인 점을 감안하면 아직 가야 할 길은 멀어 보인다.

산재에 따른 사고사망자 수를 줄이기 위해서는 결국 건설현장의 안전을 크게 높여야 하는 셈인데 고용노동부는 이에 따라 최근 건설업계 현장을 대상으로 불시감독, 감독 뒤 즉시 사법조치 등 강도 높은 대책을 내놨다.

이는 건설업계의 긴장감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는데 대형 건설사 가운데 특히 포스코건설과 대우건설, GS건설 등이 긴장할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건설, 대우건설, GS건설은 올해 들어 이미 현장 안전과 관련해 구설수에 오른 경험이 있어 다시 한 번 구설수에 오른다면 이미지에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

포스코건설은 2018년 한 해 동안 건설현장에서 10명의 노동자가 사고로 목숨을 잃어 4월 말 노동건강연대 등으로 구성된 ‘산재사망대책마련 공동캠페인단’으로부터 ‘2019년 최악의 살인기업’에 선정됐다.

대우건설은 올해 들어 3곳의 현장에서 4명의 노동자가 잇따라 사고로 숨져 현재 고용노동부의 기획감독을 받고 있고 GS건설은 3월 고용노동부가 건설현장 안전과 관련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추락사고로 노동자 3명이 한 번에 목숨을 잃었다.
 
포스코건설 대우건설 GS건설, 고용부 안전감독 강화에 바짝 긴장

▲ (왼쪽부터) 이영훈 포스코건설 대표이사 사장, 김형 대우건설 대표이사 사장, 임병용 GS건설 대표이사 사장.


이낙연 국무총리는 4월 국정현안 점검조정회의에서 3월 경북 안동에서 발생한 GS건설 현장의 노동자 사망사고를 들며 관련부처에 추락사고 방지대책 마련에 힘쓸 것을 지시하기도 했다.

대형 건설사 전문경영인들은 매년 안전을 최우선하겠다는 내용의 신년사를 발표하는 등 건설산업에서 안전은 기본이자 반드시 확보해야 할 가치로 평가된다.

안전과 관련한 이미지는 각종 수주전에서 홍보요인이나 경쟁사의 공격요인으로 활용되며 실적에도 영향을 미치는 만큼 대형 건설사들은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

고용노동부는 2일 2018년 산재에 따른 사고사망만인율을 발표하며 건설현장을 향한 강도 높은 안전점검과 감독을 예고했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산업재해에 따른 사고 사망자의 대폭적 감소를 위해서는 건설업이 중요하다”며 “앞으로 진행할 현장점검도 산업안전보건법 전반과 관련한 내용보다는 건설업의 추락재해 예방을 위한 위험유발요인 등 특정사안에 초점을 맞춰 감독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한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