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정부에서 포스코와 현대제철에 합작 일관체절소 설립을 제안하기 위해 투자단을 파견했다.

인도 측은 적극적이지만 워낙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사업인 만큼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포스코 현대제철, 인도의 '합작 고로제철소' 제안에 계산 분주

▲ 최정우 포스코 대표이사 회장(왼쪽), 김용환 현대제철 대표이사 부회장.


27일 포스코에 따르면 푸니트 칸살 인도 철강부 국장이 이끄는 철강투자 대표단이 25일 방한해 포스코, 현대제철 관계자 등과 차례로 면담했다.

이번 대표단에는 인도 국영철강사인 'RINL'의 프라도쉬 쿠마르 라스 CEO도 포함됐다. 이들은 포스코 광양제철소와 현대제철 당진제철소를 방문한 뒤 28일 출국한다.

인도 정부는 용광로(고로)공장을 설립하기 위해 올해 초부터 포스코와 현대제철에 합작회사 건립을 제안해왔다. 자동차 강판류의 고급 철강 제품을 현지에서 생산하기 위해서다. 인도는 아직 철강 관련 기술이 부족해 자동차 강판을 비롯한 첨단 분야 제품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한다

인도 정부는 제철 원료인 철광석과 공장 부지 등을 제공하는 대신 한국 업체가 설비와 기술을 맡는 형태의 합작을 원하고 있다.

포스코는 인도에 자동차 및 가전용 용융 아연도금강판 공장과 무방향성 전기강판 공장, 자동차용 냉연강판 공장을 세워 가동하고 있고 현대제철은 인도에서 자동차강판 가공공장을 운영 중이지만 두 회사 모두 인도에 고로 공장은 없다.

인도 측은 포스코와 현대제철이 공동으로 투자하는 방안도 제안했다. 두 회사가 이에 합의하면 인도 정부는 경영권에 관여하지 않을 정도로 작은 규모의 지분만 확보하기로 했다.

인도 정부는 포스코나 현대제철이 국영기업인 SAIL, RINL 등과 합작한다면 인도 동부 안드라프라데시주(州) 해안에 있는 비사카파트남 지역의 부지 3천 에이커(12.1㎢가량)를 제공하겠다는 제안까지 내놓았다. 

그러나 이런 파격적 조건에도 포스코와 현대제철이 합작법인 설립에 뛰어들기에는 조심스러울 수 있다. 불확실성이 높기 때문이다.

포스코는 2005년부터 인도 오디샤 주정부와 양해각서를 맺고 120억달러(약 13조4천억원) 규모의 제철소 설립을 추진했으나 환경 훼손 가능성 등을 두고 주민들의 반발에 부딪혀 여전히 진척이 없다. 13년이 지난 지금까지 착공에 들어가지 못해 사실상 건립계획이 무산됐다고 볼 수 있다.

고로 건설에 조 단위의 자본이 필요하다는 점도 큰 부담이다. 이렇다보니 인도의 적극적 '구애'와 비교해 포스코와 현대제철의 반응은 다소 미온적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철강업계의 한 관계자는 "인도가 매력적 시장인 것은 맞지만 포스코가 당시 워낙 고생을 많이하면서 인도에 크게 데였다"며 "현대제철 역시 당진제철소에 고로를 지을 때 10조 원가량이 들었는데 일관제철소 설립이라는 대규모 투자결정을 섣불리 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번에는 과거 포스코가 실패했을 때와 상황이 다르다는 반박도 있다. 인도가 제공하기로 약속한 토지가 이미 인도 국영회사인 RINL이 보유하고 있는 유휴부지라 부지 확보 과정에 문제가 생길 이유는 없다는 것이다.

현대제철도 인도 측의 제안에 솔깃한 부분이 없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현대제철 관계사인 현대자동차 인도 법인은 현재 자동차 강판 상당 부분을 한국에서 들여오는데 합작 제철소를 지으면 현지 조달이 가능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인도는 현재 중국에 이어 세계 조강생산 순위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인도 정부는 2030년까지 3억 톤의 조강 능력을 확보하겠다는 계획도 세워뒀다.

포스코 관계자는 "현지 생산법인과의 연계 가능성 등을 감안해 인도 투자전략 방향을 내부적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제철 관계자 역시 "현재 제안서를 검토하고 있고 아직 진척은 없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고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