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서울시장이 ‘서울혁신성장위원회’를 만들며 기업인을 모으고 있다.

박 시장은 산업계의 목소리를 최대한 정책에 반영해 서울을 4차산업혁명의 중심도시로 키운다는 계획을 세웠다.
 
박원순, '서울혁신성장위원회'에 진대제 김상헌 양윤선 모으다

박원순 서울시장.


박 시장은 21일 서울시의 혁신성장정책을 수립, 조정하고 자문 역할을 할 서울혁신성장위원회를 구성해 첫 회의를 열었다.

서울혁신성장위원회는 서울시장 지속 자문기구로 4차산업혁명 관련 혁신기술 분야에서 전문성을 인정받고 창업에 성공한 인사로 구성됐다.

진대제 한국블록체인협회 회장이 위원장으로 위촉됐고 김상헌 네이버 경영고문, 양윤선 메디포스트 대표이사 등이 참여한다.

박 시장은 “서울혁신성장위원회는 서울이 대한민국 혁신성장의 실험장가 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것”이라며 “새로운 융합의 장을 열고 창조적 아이디어와 기술이 움터 나갈 수 있는 혁신 생태계의 구심점으로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4차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서울시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올해 초 4차산업혁명에 대응한 먹거리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5개년 ‘서울 미래 혁신성장 프로젝트’ 계획을 내놓았다. 프로젝트를 위해 2022년까지 3조4400억 원을 투입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박 시장은 바이오, 의료 등 6개 유망산업에서 23개 전략과제를 선정해 서울시 66개 거점에 관련 산업단지를 만드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

그는 서울 미래 혁신성장 프로젝트를 발표하며 “2022년까지 서울의 경제지도를 바꾸겠다”이라며 “정부의 혁신성장 기조에 발맞춰 서울의 혁신 성공을 대한민국의 혁신 성공으로 이어가겠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박 시장은 혁신성장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서울혁신성장위원회의 의견을 적극 반영할 것으로 보인다.

혁신성장 프로젝트의 주체는 결국 산업계이고 서울시는 이를 도와주는 역할을 할 뿐이다. 따라서 산업계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는 것이 프로젝트의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서울혁신성장위원회를 대부분 산업계에 몸담거나 몸담았던 인물들로 구성한 점도 이를 고려한 것으로 분석된다.

박 시장은 전문가의 의견을 경청해 이를 정책으로 옮기는 데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미 시민들의 아이디어를 현실화하는 시민단체 ‘희망제작소’를 통해 서울시에 적용할 수 있는 정책을 발굴하기도 했다.

하지만 서울시의 경제를 살리는 정책에서는 미흡했다는 평가가 많다.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지역경제 동향'을 보면 서울시는 3분기 실업자 수가 2017년 3분기보다 1만6700명이 늘었다. 서울시는 실업률 4.9%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기도 했다.

박 시장도 그동안 경제부문에서 미흡했던 점을 인정하고 남은 서울시장 임기의 첫 번째 시정과제를 경제로 꼽았다. 

특히 박 사장은 대선후보로도 꼽히는 만큼 서울시의 경제를 살리는 것이 그 어떤 것보다 중요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서울혁신성장위원회가 박 시장에게 부족했던 서울시의 경제 정책을 보완해줄 역할을 할 것이란 기대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박 시장은 혁신성장을 통한 미래 먹거리 확보로 서울시의 경제도 살린다는 그림을 그리고 있다. 

박 시장은 9일 서울국제경제자문단 총회에 참석해 ‘서울의 미래 혁신성장’을 주제로 한 기조연설에서 “서울은 혁신성장에 최적화된 도시라는 비전을 설정했다”며 “기업들이 과감하게 도전하고 시도해볼 수 있는 환경을 최대한 만들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