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이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 우리는 행복한 나라에서 살고 있다고 하기 어렵다.”

박세정 계명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는 그의 저서 ‘행복한 나라 좋은 정부’(생각나눔)에서 현재의 한국을 이렇게 바라본다. 
 
박세정 책 ‘행복한 나라 좋은 정부’, 정부가 가야할 길을 묻다

▲ 박세정 계명대 교수의 저서 '행복한 나라 좋은 정부'.


고용과 양극화 상황은 갈수록 나빠지고 있다. 부정과 비리가 쉽게 사라지지 않고 계층 사이의 갈등과 대립도 계속 심화되고 있다.

이런 문제들이 국민의 불안과 걱정을 만성적으로 만든다.

이런 상황을 벗어나 국민의 행복을 이끌어내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건으로 정부의 변화를 들고 있다. 정부의 운영원리를 바꿔 소통과 공존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덴마크에서 살았던 경험을 토대로 ‘행복한 나라’의 조건을 오랫동안 연구해 왔다. 덴마크는 국민들의 행복도가 높아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로 꼽힌다. 

박 교수는 정당의 대화와 타협 중심으로 구성된 덴마크의 정치제도가 이런 결과를 이끌어냈다고 파악한다. 우리 정부 역시 경쟁에 치중한 ‘게임의 규칙’을 바꾸지 않으면 국민이 서로를 아끼고 챙기는 행복한 나라를 만들 수 없다고 바라본다.

박 교수는 국무총리실 정책평가 자문위원과 한국정부학회 회장 등을 역임한 행정 전문가다. ‘세계화 시대의 일류 행정’과 ‘지능형 조직’ 등의 행정 저서도 저술했다.

연세대학교를 졸업한 뒤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경영학 석사와 행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행정연구원 수석연구원을 거쳐 1994년부터 계명대 행정학과 교수로 일하고 있다. 

덴마크의 남덴마크대학교와 코펜하겐대학교 초빙교수를 한 차례씩 지내면서 행복한 나라에 관심을 보이게 됐다. 

2016년 ‘대한민국을 살아간다는 것’을 펴내 행복한 나라들의 공통점과 교훈을 분석했다. 이번에는 ‘행복한 나라 좋은 정부’로 정부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이 책은 3장에 걸쳐 행복한 나라를 만들기 위한 정부의 역할을 논의하고 있다. 특히 정치와 행정 양쪽에서 정부가 앞으로 지향해야 할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정부가 정치와 행정을 바꾸면 국민이 근심과 걱정 없이 조화를 이루면서도 스스로의 존재감을 최대한 나타낼 수 있는 행복한 나라를 만들 수 있다고 박 교수는 강조한다.

정치에서는 국민들이 눈앞의 문제보다 주도권 다툼에 힘쓰는 문제의 이유를 진단하고 합의 중심의 정치체제를 해결방안으로 내놓았다. 

행정에서는 공직사회가 국민을 더욱 존중하고 소중하게 생각할 것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 지방분권을 강화하고 공동체를 위한 대화의 장도 만들 것을 제안했다. 

박 교수는 책에서 “한국 사회의 병리현상을 낫게 만들고 국민도 좋은 삶을 살려멱 정부의 작동원리가 근본적으로 바뀌어야 한다”며 “이 책이 이런 변화의 물꼬를 트는 단초가 되었으면 한다”고 소망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