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4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2025 비즈니스포스트 금융포럼 in 하노이’가 성황리에 끝났다. 이번 포럼에는 베트남 금융당국자는 물론 아시아개발은행(ADB), 아세안+3거시경제조사기구(AMRO) 등 국제기구가 함께해 K-금융의 아세안 확장, 특히 베트남 시장의 경쟁력 강화 방안에 대해 많은 논의를 나눴다. 비즈니스포스트는 에필로그 기사를 통해 베트남에 진출한 우리 금융사들의 업권별 현황과 전략을 짚고, 포럼 현장 기사에 미처 담지 못한 이야기도 전한다. <편집자 주>
- 글 싣는 순서
① 베트남은 여전히 국내 은행에 기회의 땅, 신한 ‘선전’ 속 다른 은행들 속도전
② [인터뷰] 베트남우리은행 김병진 “리테일 비중 60% 목표, 뉴원뱅킹으로 동력 키운다”
③ 한국 기업만 1만 곳, KB·하나·농협·IBK ‘전략시장’ 베트남 다시 본다
④ 보험침투율 낮은 베트남 시장, 속도는 더뎌도 성장 잠재력은 분명히 있다
⑤ [인터뷰] 한국투자증권 신현재 “높은 증권시장 성장성, 리테일 경쟁력 높일 것”
⑥ 베트남 캐피탈시장도 본격 성장 준비 중, 국내 여신사 무기는 '리스크관리'
⑦ [인터뷰] 한-아세안금융협력센터장 이영직, “아세안 르네상스 촉매제 되겠다”
⑧ [인터뷰] 주한베트남대사 부 호 “베트남은 문을 닫지 않는다, 균형과 개방이 성장의 비결”
|
|
| ▲ 김병진 베트남우리은행 법인장이 5일 인터뷰에서 리테일 금융 비중을 60%까지 늘리겠는 목표를 내놨다. <베트남우리은행> |
[하노이(베트남)=비즈니스포스트] “현재 리테일(개인금융) 40%, 기업금융 60%인 비중을 앞으로 2~3년 안에 리테일 60%, 기업 40%로 바꾸려 한다.”
5일 베트남 하노이 베트남우리은행 본점에서 만난 김병진 베트남우리은행 법인장(은행장)은 베트남우리은행이 중장기적으로 리테일 기반을 더욱 단단히 갖춰야 한다고 진단했다.
김 법인장은 베트남에서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베트남 시장에 대해 높은 이해도를 갖추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는 2018년부터 2021년까지 3년 반 가량 베트남우리은행 하노이 지점장을 역임했다. 2021년 10월 한국에 돌아와 강서금융센터장, 개인마케팅 부장으로 일한 뒤 2025년 3월 베트남우리은행 법인장으로 취임했다.
베트남우리은행이 큰 방향성으로 설정해둔 리테일과 기업금융 비중 전환은 김 법인장이 수년 동안 쌓은 경험치를 바탕에 두고 있는 셈이다.
실제로 김 법인장은 2025년 3월 취임하면서부터 리테일 부문 강화를 과제로 내걸었다.
금융회사들은 ‘포스트 차이나’ 흐름 속 제조 기업들의 발길이 베트남을 향하면서 이와 함께 베트남 시장을 본격 주목했다. 베트남우리은행 역시 그동안 현지 진출 한국 기업들과 협업을 한 축으로 성장해왔다.
그러나 한국 기업의 진출 속도가 둔화하는 가운데 리테일 부문을 강화할 필요성이 커졌다고 풀이된다.
리테일 부문이 기업금융보다 경기 흐름에 대한 민감도가 낮은 점도 중장기적 관점에서 유리한 지점으로 여겨진다. 변동성 폭을 좁힐 수 있어서다.
| ▲ 베트남우리은행 본점에 있는 WON금융플랫폼부. <비즈니스포스트> |
김 법인장이 베트남우리은행의 디지털 역량 강화에 속도를 내는 것도 리테일 강화라는 목표와 맥락을 같이한다.
베트남우리은행은 현재 모바일뱅킹 재구축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기존 ‘원(WON)뱅킹’을 ‘뉴원뱅킹’으로 탈바꿈하는 것이다.
베트남우리은행 본점 한편에는 이 작업을 담당하는 태스크포스팀(TFT) 공간도 따로 마련돼 있다.
김 법인장이 이번 뉴원뱅킹 구축에서 특별히 신경을 기울이고 있는 부분은 현지화다.
김 법인장은 “앱의 보안성이나 안정성은 한국 수준으로 끌어올리겠지만 사용자인터페이스(UI)·사용자경험(UX) 부분은 지극히 베트남에 맞추려 한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 사람들은 앱 화면에서 간단한 정보를 제공하는 간편앱 형식을 선호한다”며 “반면 베트남 사람들은 첫 화면에서 가능한 서비스를 모두 나열해 보여주는 직관적 형식을 좋아한다”고 덧붙였다.
김 법인장이 현지 고객들을 위해 세심한 관심을 기울이는 영역은 디지털뿐만이 아니다.
베트남우리은행 본점 사무실 옆에 위치한 영업점에는 고객들을 위한 선물로 위비프렌즈 캐릭터가 그려진 오토바이 안전모(헬멧)가 있다.
베트남 길거리에 수많은 오토바이가 지나다니는 모습이 베트남에 관한 대표적 이미지로 떠오를 만큼 오토바이는 베트남 사람들의 생활필수품처럼 여겨진다. 작은 선물 하나도 현지 사람들의 관점에서 준비하고 있다는 뜻이다.
또한 김 법인장은 “베트남 사람들은 인형을 좋아한다”며 “고객 사은품으로 ‘위비프렌즈’ 캐릭터를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 하노이 시내가 물에 잠겼던 일화를 소개하면서 “한국 갯벌에서 입는 장화가 연결된 옷을 선물로 준비해볼까 생각도 했다”며 웃기도 했다.
다만 김 법인장이 그리는 리테일 강화라는 방향성이 기업금융 총량을 줄이는 방향은 아니다. 그런 만큼 김 법인장은 기업금융 측면에서도 지속 성장을 꾀하고 있다.
김 법인장은 “속도는 다소 줄었다지만, 베트남이 여전히 연 7~8%씩 성장하고 있는 만큼 베트남에 진출하는 기업 수는 계속해서 늘고 있다”며 "아직은 부지런히 돌아다니면 영업이 된다"고 말했다.
베트남우리은행은 우리금융그룹의 동남아 3대 핵심 법인(베트남·인도네시아·캄보디아) 가운데 하나다. 그 중에서도 올해 상반기 기준 가장 많은 이익을 냈다.
베트남우리은행이 우리금융 글로벌 전략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최근 해외순방에 나선 정진완 우리은행장도 베트남을 들렀다.
정 행장이 베트남에 요청한 것이 있는지 묻자 김 법인장은 “베트남 조직을 잘 키워달라는 이야기를 하고 가셨다”며 “베트남 조직을 키워달라는 것은 결국 베트남 법인을 성장시키라는 의미라고 본다”고 말했다.
글로벌 사업의 핵심법인을 맡았다는 점이 부담도 될 법 하지만 김 법인장은 그보다 주어진 기회에 시선을 뒀다.
김 법인장은 “(베트남우리은행 법인장으로서) 어깨가 무거운 건 당연하다”면서도 “그보다는 일을 펼칠 수 있는 동력을 얻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 베트남우리은행 법인장실 뒤에 그림이 걸려있다. <비즈니스포스트> |
현재 베트남우리은행 법인장실, 김 법인장 자리 뒤에는 1997년에 그려진 한 작품이 걸려있다.
1997년 베트남 하노이지점을 열면서 이를 기념하는 차원에서 그 해 완성된 두 개의 그림을 구입했다고 한다. 나머지 한 작품은 베트남우리은행 본점 옆 영업점에 있다.
베트남우리은행의 역사적 의미가 담긴 그림을 옆에 두고 있다는 점에서 김 법인장의 책임감이 더욱 크게 느껴졌다.
김 법인장은 마지막으로 베트남우리은행의 성장에 자신감을 내보였다.
김 법인장은 “하노이 지점장으로 있을 때부터 해야겠다고 생각했던 부분들이 있는데 법인장으로 오면서 실제로 많이 하고 있다”며 “취임할 때 직원들에게 이런 것들을 하겠다고 이야기하면서 임기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취임하면서 이야기한 그 방향대로 나아가고 있고 열심히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조혜경 기자
| ▲ 김병진 베트남우리은행 법인장이 영업점에 걸린 그림을 설명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