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포스코이앤씨가 현장 중심으로 안전경영을 강화한다.
포스코이앤씨는 전 임원이 올해 중대재해가 발생한 사업장을 네 차례 찾아 ‘현장 전사경영회의’를 열었다고 26일 밝혔다.
| ▲ 송치영 포스코이앤씨 대표이사 사장이 현장 전사경영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포스코이앤씨> |
이번 조치는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이 선언한 ‘안전 최우선 경영’ 원칙과 그룹 차원의 안전 혁신 기조에 따른 것이라고 포스코이앤씨는 설명했다.
장 회장은 포스코이앤씨 광명-서울 고속도로 건설 현장에서 열린 첫 회의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세 차례에 걸쳐 ‘그룹 안전 특별점검회의’를 직접 주재했다.
아울러 포스코이앤씨의 춘천소양촉진 2구역, 신반포18차, 천호 4구역 재개발 현장을 불시 점검했다.
포스코그룹도 8월1일 ‘그룹안전특별진단 태스크포스(TF)’를 새롭게 만들었고 지난달에는 안전전문 자회사 ‘포스코세이프티솔루션’을 설립했다.
포스코이앤씨는 기존 임원 중심 의사결정 회의였던 전사경영회의를 현장 토론형 회의체로 바꿔, 임원 전원이 사고 현장을 찾아 원인을 확인하고 협력사와 해결책을 논의했다.
포스코이앤씨 임원들은 올해 열린 네 차례 회의에서 현장별 문제를 진단하고 실행 가능한 대책을 마련했다.
안전보건 조직도 본사 중심에서 현장 중심 체계로 개편해 건설안전연구소, 안전보건기획그룹, 스마트안전기술그룹 등을 R&D센터와 연계해 통합 관리체계를 구축했다.
또 노동자와 협력사가 함께하는 안전상생 협의체를 운영하고 현장의 목소리가 정책과 제도로 이어지도록 했다.
포스코이앤씨는 올해 8월 전국 103개 현장을 전면 중단하고 그룹 TF, 외부기관과 함께 긴급 안전진단을 실시해 1070건의 위험요인을 개선했다고 전했다.
정승렬 포스코이앤씨 노경협의회 근로자 대표는 “임원들이 회의실이 아닌 사고 현장에서 직접 대책을 논의하는 모습에서 안전이 말이 아닌 실천으로 바뀌고 있음을 느낀다”고 말했다.
송치영 포스코이앤씨 대표이사 사장은 “회사의 성과보다 노동자의 생명과 안전이 우선돼야 한다”며 “이번 현장회의는 '안전이 곧 경쟁력'이라는 인식을 조직 전반에 뿌리내린 실천의 과정”이라고 강조했다. 박재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