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정부가 대규모 정보시스템을 구축할 때 민간 클라우드를 적극 활용한다.
정부는 2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대규모 정보시스템 구축체계 혁신방안’을 발표하면서 모든 시스템을 직접 개발하기 보다 민간 클라우드 도입을 우선 검토하기로 했다.
▲ 고기동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이 2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클라우드 및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상용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시스템 안정성과 효율성 기반도 마련한다.
복잡한 대규모 정보화 사업을 부분별로 작업·개선할 수 있도록 모듈화하고 단계적 개통을 추진해 복잡도와 위험을 완화한다.
기존 시스템 운영·유지보수 사업자가 신규 시스템 구축 때 지원 역할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 사업 지연 요인도 해소한다.
장기 사업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분석·설계 이후 과업 범위를 재확정하는 단계를 신설해 사업 품질 저하와 사업 수행 과정에서 불필요한 갈등을 방지한다.
△하드웨어·상용 소프트웨어 발주 시기 조정 △개발·운영 통합발주 허용 △조직·인사 가이드라인 마련 △책임형기술지원센터(NIA)를 통한 기술지원 등 변화에 대응하는 관리체계 및 지원체계를 마련한다.
사업관리자, 핵심 개발자 등 시스템 설계 및 구축에 영향을 줄 수 있을 정도의 민간 일부 핵심인력은 교체할 경우 발주기관과 사전 협의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고난이도 사업에 필수적 전문성 확보를 위해 700억 원 이상 대규모 사업에 한해 대기업의 참여를 허용한다.
사업관리와 품질확보를 지원하는 프로젝트 관리조직(PMO)·감리 제도를 보완해 고난이도 사업에 전문성을 보강한다.
고기동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은 “국민이 신뢰하고 안심하며 이용할 수 있는 행정서비스를 위해 정보시스템의 성공적인 구축은 필수적”이라며 “신속한 제도 개선과 현장 안착을 통해 실질적 변화와 성과를 보여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