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위 없는 6월 대선에 금감원 국책은행 수장 임기 줄줄이 만료, '대행체제' 혼란 불가피
박혜린 기자 phl@businesspost.co.kr2025-05-16 16:14:08
확대축소
공유하기
[비즈니스포스트] 6월 대통령 선거와 맞물려 금융감독원, 산업은행 등 주요 금융기관 수장 임기가 줄줄이 만료된다.
이번 대선은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에 따른 조기 대선으로 인수위원회 없이 새 정부가 출범하게 된다. 경제·금융 정책을 총괄하는 리더십 공백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2025년 5월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퇴임식을 하고 3년 임기를 마쳤다. <연합뉴스>
16일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정부서울청사에서 퇴임식을 열고 3년 임기를 끝냈다.
김 부위원장은 앞서 2022년 5월 윤석열 전 정부 출범 뒤 금융위원장 인사가 늦어지는 가운데 먼저 임명됐다. 그 뒤 2024년 7월 개각으로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교체될 때도 자리를 지키며 기업 밸류업 지원 프로그램, 상장폐지 제도 개선 등 자본시장 선진화 정책의 중심을 잡았다.
김 부위원장은 2008년 금융위 출범 뒤 처음으로 임기 3년을 완주한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
조기 대선 상황에서 김 부위원장 임기가 끝나면서 금융위 2인자 자리는 새 정부가 출범한 뒤 내각을 꾸릴 때까지 공석으로 남게 됐다. 그 때까지는 권대영 사무처장이 일부 직무를 대리하게 된다.
금융위는 지난해 7월 말 취임한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있는 만큼 리더십 공백 상황은 아니다.
하지만 기획재정부 장관 겸 경제부총리 자리가 이미 공석인 상황에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6월5일 임기가 끝난다.
F4(기획재정부 장관, 한국은행 총재, 금융위원장, 금융감독원장)로 불리는 국내 금융정책 컨트롤타워 4인방 가운데 두 자리가 비면서 한동안 ‘반쪽짜리’ 체제가 불가피해 보인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앞서 7일 월례 기자간담회에서 “상황이 굉장히 어렵고 국무회의를 비롯한 정부기관 회의를 가면 대행이 굉장히 많다”며 “대선이 다가올수록 불확실성이 커지겠지만 시장 안정을 최우선으로 금융정책 차원에서 해야할 일들을 잘 관리해가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여기에 강석훈 한국산업은행 회장과 윤희성 한국수출입은행장도 각각 6월과 7월에 임기가 만료된다.
안 그래도 정권 교체기에는 정책의 연속성과 방향성 등이 흔들릴 수밖에 없다. 조직 내부도 새로운 정부의 ‘물갈이 인사’ 가능성에 뒤숭숭해지기 마련이다.
▲ 왼쪽부터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범석 기획재정부 장관 겸 경제부총리 직무대행,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5월2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에 앞서 사진을 찍고 있다. <연합뉴스>
특히 이번과 같은 ‘장미대선’은 정책이나 정부 부처 인선을 준비할 인수위도 없이 선거 바로 다음날 곧바로 새 정부가 출범한다.
내각 구성 등을 어느 정도 그려두고 있더라도 일반적 상황보다 시간이 더 걸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과거 문재인 정부 때를 보면 출범 뒤 기획재정부부터 금융위, 금감원, 국책은행 등 주요 경제정책 기관 인사를 마무리하는 데만 넉 달 정도가 걸렸다.
2017년 5월9일 문재인 대통령이 당선되고 2달 뒤인 7월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임명됐고 새 금융감독원장은 9월에야 정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