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정부가 2035년까지 산업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최소 21%, 최대 30% 이상 줄이는 방안을 제시했다.
환경부는 26일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 아트홀에서 열린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산업 부문 토론회’에서 2035년 산업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대 2억1930만 톤, 최소 1억9300만 톤 이하로 줄이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 환경부가 2035년까지 산업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소 21%에서 최대 30% 이상까지 줄이는 방안을 제시했다. 사진은 정부세종청사 환경부 건물. <위키미디아 커먼스> |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각 나라가 5년마다 수립하며 앞으로 10년 동안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정한다.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올해 안에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에 제출해야 한다.
정부는 2018년 온실가스 배출량 대비 감축률로 48%, 53%, 61%, 65%를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후보로 제시했다.
2018년 대비 48% 감축으로 하면 산업 부문 감축률은 21%로, 65% 감축으로 하면 30% 이상으로 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기준인 2018년 산업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2억7630만 톤이다.
산업 부문은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과 비교해 11.4% 줄여야 한다.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상 산업 부문 감축률은 당초 14.5%였지만 산업계가 부담을 호소하면서 11.4%로 낮아졌다.
정부는 산업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방법으로 석탄 대신 고농도 수소를 환원제로 활용해 철광석에서 철을 얻는 방식인 수소환원제철과 저탄소강, 생분해성 플라스틱 확대 등을 제시했다. 윤인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