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서울시가 발주한 모든 공공 공사에 스마트 건설기술을 적용한다.
서울시는 지자체 가운데 최초로 3차원 기반 설계기법인 ‘서울형 건설정보모델링(BIM) 적용지침’을 제작 및 배포한다고 4일 밝혔다.
▲ 서울시가 발주한 모든 공공 공사에 스마트 건설기술을 적용한다. 사진은 건설정보모델링 설계가 적용된 예시. <서울시> |
서울시는 지난 3월에 발표한 ‘서울형 스마트 건설 전환 및 활성화 방안’의 후속 조치로 관련된 세부 계획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지침에는 서울 시내 도로·철도·건축 특성을 고려한 BIM 업무 진행 절차와 데이터 작성·관리, 성과품 작성·납품·관리, 활용 방안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BIM은 건설공사 모든 단계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3차원 디지털 모델로 구현해 단계별 정보를 관리하는 ‘스마트 건설’ 핵심 기술로 꼽힌다.
3차원 설계로 오류를 사전에 발견하고 공정 사이 충돌을 예방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안전관리와 유지관리를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서울시는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건설이 세계적 흐름으로 자리 잡은 가운데 핵심 기반기술인 BIM 설계 적용을 체계화해 설계 품질을 높이고 공공사업 생산성과 투명성을 강화하기로 결정했다.
이어 건설과정 생산성과 품질 향상을 목표로 통일된 기준을 제시해 궁극적으로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 혁신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건설로 전환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김승원 서울시 건설기술정책관은 “서울형 설계 BIM 적용지침 시행으로 스마트 건설 전환 첫 걸음을 내딛게 됐다”며 “혁신기술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앞으로도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조경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