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미국 정부가 의약품에 대한 관세를 예고하면서 국내 제약 바이오 업체들의 긴장감도 높아지고 있다는 시선이 나온다. 사진은 의약품과 미국 관세 관련 이미지. <그래픽 비즈니스포스트>
[비즈니스포스트]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의약품 관세 문제를 구체화하자, 셀트리온과 SK바이오팜 등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두 회사 모두 일찍부터 올해 미국에서 판매할 물량을 비축하면서 기민한 대응 체계를 구축해왔지만, 실제로 관세가 도입할 경우 막대한 비용이 발생할 가능성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8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미국 의약품 관세가 구체화되면서 국내 제약 바이오업계에서도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일(현지시각) 백악관에서 열린 의약품 제조 촉진 관련 행정명령 서명식에서 의약품 수입 관세를 2주 안에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트럼프는 미국 내 제약 공장 건설에 승인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라고 식품의약국(FDA)에 지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를 통해 반도체, 자동차와 마찬가지로 의약품도 미국 내 생산을 유도하겠다는 계획이다.
반대로 해외에서 생산된 의약품이 미국으로 수입될 때는 제조 시설에 대한 FDA 검사 수수료를 인상하고 약물 성분에 대한 검사도 강화하는 등의 규제를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한국 정부는 한국산 의약품에 대한 관세가 필요하지 않다는 내용의 의견서를 미국 정부에 전달했다. 여기에 더해 한국바이오협회도 국내 제약 바이오산업을 대표에 목소리를 냈다.
한국바이오협회 관계자는 “미국 정부가 의약품 및 의약품 원료에 대한 관세 부과 등의 무역 제한 조치를 취하는 것을 자제해 줄 것을 요청한다”며 “만약 미국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지 않는 한국과 같은 동맹국에서 생산된 의약품 및 의약품 원료는 면제될 수 있도록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일단 미국 관세에 직접적 영향을 받을 곳으로 여겨지는 곳은 SK바이오팜과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로 꼽힌다.
다만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경우 세계적 제약사와 위탁생산 계약 물량이 대부분이라는 점에서 최종적으로 고객사에게 관세가 부과될 수 있다는 점에서 부담을 덜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이 앞으로 2주 안에 의약품과 관련한 관세 정책을 발표하겠다고 예고했다. <연합뉴스>
하지만 나머지 2곳은 직접 미국에서 판매를 하고 있는 만큼 관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특히 셀트리온의 경우 국내에서 생산해 미국에서 판매까지 수직계열화를 한 상황이라는 점에서 부담이 더욱 클 수밖에 있다. SK바이오팜도 뇌전증 치료제 ‘엑스코프리’를 위탁생산 방식으로 공급받아 미국에서 직접 판매하고 있다.
물론 두 업체 모두 올해 판매 분량을 미리 미국에서 재고로 비축해 둔 만큼 단기적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문제는 트럼프 대통령이 자국에 공장을 세우는 방식을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장기적으로는 부담이 될 수 있다.
셀트리온은 홈페이지에 “단기 대응 전략으로 당사는 올해 미국에서 판매 예정인 회사 제품에 대해 현재 약 15개월분의 재고 이전을 완료해 보유하고 있다”며 “이에 따라 내년 상반기 판매분까지 확보한 상태로 관세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했다”고 전했다.
‘엑스코프리’로 블록버스터 의약품을 기대 중인 SK바이오팜은 이미 FDA 승인을 받은 미국 내 의약품 CMO 시설을 확보하면서 관세 영향에서 벗어난 모습이다.
엑스코프리는 국내에서 원료의약품 제조 후 캐나다에서 벌크 태블릿 및 패키징 단계를 거쳐 미국으로 수출되고 있지만, 미국 내 생산을 위한 준비를 이미 완료해 FDA 허가를 받은 시설에서 필요 시 즉시 생산이 가능하다. 또 미국 내 약 6개월분의 물량을 사전에 확보하고 있어 관세 대응에 소요되는 기간 동안에도 큰 문제 없이 ‘엑스코프리’의 판매가 가능하다.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서명한 행정명령은 의약품 자국 생산 확대를 유도하는 것을 뼈대로 하고 있다.
이미 빅파마들은 줄지어 미국 제조 생산시설 투자 확대를 발표하고 있다.
허혜민 키움증권 연구원은 “다국적 제약사는 앞으로 관세와 대규모 미국 내 제조시설 투자 뿐만 아니라 트럼프 행정부의 약가 인하 정책에 로비로 대응하는 것이 시급하다”며 “내년부터 연구개발 투자 규모의 축소 및 기술이전 거래 감소로도 이어질 수 있어 당분간 정책 관련해 주의 깊게 관망할 필요가 있다”고 내다봤다.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