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자동차·부품

KG모빌리티 베트남 기업과 손잡고 현지 진출, 티볼리 토레스 조립 생산

허원석 기자 stoneh@businesspost.co.kr 2023-03-31 17:43:13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KG모빌리티 베트남 기업과 손잡고 현지 진출, 티볼리 토레스 조립 생산
▲ KG모빌리티는 31일 베트남 푸타(FUTA)그룹의 킴롱모터스와 반조립생산(KD) 계약을 맺었다. 왼쪽부터 정용원 KG모빌리티 대표이사, 곽재선 회장, 응웬 후 루안 푸타그룹 회장, 마이 푸억 응에 사장. < KG모빌리티 >
[비즈니스포스트] KG모빌리티(옛 쌍용자동차)가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국가에 첫 생산거점을 확보하고 현지 조립 생산에 나선다.

KG모빌리티는 31일 베트남 푸타(FUTA)그룹의 킴롱모터스와 반조립생산(KD)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푸타그룹은 자동차 판매업과 여객운수업 등을 운영하는 자산 3조 원 규모의 베트남 기업이다. 킴롱모터는 푸타그룹의 자동차 부문 자회사다.

킴롱모터는 현재 베트남 중부 다낭 인근 후에 산업단지에 KG모빌리티 전용 KD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이는 KG모빌리티의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국가 내 첫 생산 거점이다.

공장 건설이 완료되면 2024년부터 티볼리와 코란도, 토레스가, 2025년부터는 올 뉴 렉스턴과 뉴 렉스턴 스포츠(칸)의 베트남 현지에서 조립 생산을 시작한다.

수출 물량은 2024년 연간 1만5천 대를 시작으로 2029년 6만 대 까지 늘어나 총 21만 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매출 규모로는 6조 원 수준이다.

KG모빌리티는 킴롱모터와 공장 생산설비 일체를 공급하는 계약도 체결했다.

KG모빌리티는 베트남 현지 생산 거점을 기반으로 앞으로 동남아시아 시장으로 수출 물량을 늘릴 계획을 세웠다.

KG모빌리티는 사우디아라비아 SNAM과도 KD 협력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현지 조립공장을 착공했고 올해부터 1단계 현지 조립 생산에 들어간다.

KG모빌리티 관계자는 "베트남은 앞으로 동남아 시장으로의 수출 물량 확대를 위한 거점으로 중요한 시장"이라며 "유럽 등 기존 시장뿐 아니라 신흥 시장 개척과 토레스 등 신차의 해외 시장 출시 확대를 통해 글로벌 판매를 지속적으로 늘려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허원석 기자

최신기사

신한은행 '글로벌 콘퍼런스위크' 열어, 지속가능한 해외사업 전략 논의
[11일 오!정말] 민주당 박찬대 "살기 위한 본능에 가까웠던 것 아니냐"
과총 회장 이태식, 과기정통부 감사서 업무추진비 유용·직원 괴롭힘 드러나
구글 미국 정부에 클라우드 사용료 인하 예정, 오라클 이어 예산 절감에 동참
코스피 3200선 돌파 이후 '숨고르기' 3170선 마감, 코스닥 800선 상승
엔비디아 중국 신형 AI 반도체 성과 불투명, "트럼프 트윗 하나에 정책 바뀐다"
[오늘의 주목주] '쉬어간 방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5%대 하락, 코스닥 이오테크닉스 ..
대한유화 업황 악화에 시설투자 중단, 강길순 LNG발전소로 불황 버틸 힘 받아
블랙록 현물 ETF 신청 기대감에 엑스알피 가격 올라, 비트코인 1억5918만 원대
삼성전자 시스템LSI 수장 박용인 "엑시노스2600, 차근차근 준비 중"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