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시민과경제  경제정책

기후부 원전 사후처리 비용 현실화 검토, 처분시설 건설 근거 바탕

조경래 기자 klcho@businesspost.co.kr 2025-10-16 17:14:58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기후에너지환경부가 원전 사후처리 비용 현실화를 추진한다.

기후부는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9회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제4차 전체회의에서 업무보고를 하며 이같이 밝혔다.
 
기후부 원전 사후처리 비용 현실화 검토, 처분시설 건설 근거 바탕
▲ 기후에너지환경부가 원전 사후처리 비용 현실화를 검토하기로 결정했다.

기후부는 이날 국회 업무보고에서 “안전 최우선 원전 전주기 관리를 위해 원전 사후처리 비용 현실화와 안전한 원전 해체를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원전 사후처리 비용은 원전에서 발생하는 사용 후 핵연료 처리와 방사성 폐기물 처리, 원전 해체 등 3가지 비용으로 구분된다.

각 부문별 비용은 모두 원전 단가에 반영돼 있지만 이 비용은 2013년 책정된 기준으로 고준위 폐기물 처리 방향이 확정되지 않아 부담금 산정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다만 기후부로서는 지난 9월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관리에 관한 특별법’이 시행되며 처분시설 건설의 근거가 마련되며 비용 현실화 검토에 나설 기반이 마련됐다.

이 법은 고준위 방폐물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한 근거가 되는 법으로 1986년 영덕, 울진 등 지역에서 방폐장 부지선정을 추진한 뒤 40년 만에 여야 합의로 제정됐다.

기후부는 영구정지 원전의 해체사업에도 착수한다.

기후부는 2030년까지 원전 해체 기술 등을 개발해 2031년 건식저장시설을 구축하고 2037년 해체에 나선다는 방안을 수립했다. 조경래 기자

최신기사

함저협 '유튜브 레지듀얼 사용료' 음저협 입장 반박, "왜곡되고 법적 근거 결여"
중국 체리자동차 '1500㎞ 주행' 주장 전고체 배터리 공개, 2027년 양산 계획
고개 드는 오세훈 서울 수성 낙관론, 정부 여당 '아킬레스건' 부동산에 국민의힘 공세
영국 정부 친환경 에너지 산업에 채용 지원, 2030년까지 일자리 86만 명 목표
1~8월 글로벌 전기차 양극재 적재량 39.5%증가, LFP 양극재가 59% 차지
TSMC 파운드리 실적에 중국 비중 낮아져, 엔비디아 AI 반도체로 충분히 만회
[여론조사꽃] 이재명 지지율 66.9%로 2.1%p 상승, 중도층 긍정평가 70.0%
기후변화 '완화' 아닌 '적응' 논의에 정치권 주목, "패배 인정하고 현실 인식"
키움증권 "현대차 목표주가 상향, 미국 관세 15% 적용되면 역성장 우려 해소"
[여론조사꽃] 박성재 전 장관 구속영장 기각 '부적절' 62.7%, TK도 부정평가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