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이후 대법원의 이재명 후보의 공직선거법 사건 판결을 앞두고 투자 심리가 위축되면서 주가는 4월28일 2만3750원까지 추락했다.
하락했던 주가는 5월7일부터 2거래일 연속 상한가를 달성하며 급반등했다.
이날 공직선거법 사건 파기환송심을 맡은 서울고등법원 재판부가 첫 공판을 대선 이후인 6월18일로 미루자 이 후보의 사법리스크가 해소될 것이란 기대감이 반영됐다.
이처럼 정치테마주가 과열 양상을 보임에 따라 시장경보 종목 지정 횟수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거래소는 주가가 비정상적으로 급등하거나 투기 과열 양상이 보이는 종목에 시장경보제도를 통해 제동을 건다. 시장경보제도는 ‘투자주의→투자경고→투자위험’ 3단계로 구성된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4월 코스피와 코스닥시장에서 투자경고 종목 지정 건수는 모두 56건이었다. 월별 기준 4월 역대 최대치다.
투자주의·투자위험 종목 수도 크게 증가했다. 4월 투자주의 종목 지정 건수는 330건으로 2024년 4월 113건보다 3배가량 늘어났다. 투자위험 종목 지정 건수도 3건을 기록해 1년 전 1건보다 증가했다.
금융당국도 우려의 목소리를 내놓았다.
금융감독원은 1일 정치테마주 관련 불공정거래를 포착하기 위해 특별단속반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2024년 12월부터 최근까지 시장경보 종목 중 투자경고 이상으로 지정된 종모 가운데 60개 종목을 정치테마주로 분류했다”며 “정치테마주는 기업의 본질적 가치와 무관하게 정치인과 학연·지연 등의 이유로 주가가 급등락하고 주가 흐름을 예측하기 어려워 투자자 피해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또 “정치테마주 관련 허위사실이나 풍문을 생산·유포하는 불공정거래자는 처벌하겠다”고 덧붙였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정치테마주는 주로 중소형주며 낮은 수익률에도 고평가 돼 폭락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박재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