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전자·전기·정보통신

삼성전자 폴더블폰 점유율 하락 가속화, 삼성디스플레이도 BOE에 추월되나

나병현 기자 naforce@businesspost.co.kr 2023-12-07 11:50:33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삼성전자 폴더블폰 점유율 하락 가속화, 삼성디스플레이도 BOE에 추월되나
▲ 삼성전자 폴더블폰 점유율 하락이 가속화 되고 있다. <그래픽 비즈니스포스트>
[비즈니스포스트] 삼성전자의 폴더블 스마트폰(폴더블폰) 시장점유율이 2023년 4분기 42%까지 떨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올해 4분기 처음으로 중국 BOE에 폴더블 디스플레이 시장점유율 1위를 넘겨줄 것으로 예상됐다.
 
시장조사기관 DSCC는 현지시각 6일 “올해 3분기 폴더블 스마트폰 판매량은 삼성전자의 강세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4분기에는 삼성전자의 점유율이 크게 하락할 것”이라며 “화웨이와 아너가 4분기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에서 상당한 점유율을 차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글로벌 폴더블폰 판매량은 2023년 3분기 700만 대를 기록했다. 2분기보다 215%, 2022년 3분기보다 16% 증가한 수치다.

이전 최대 분기 폴더블폰 판매량이었던 610만 대(2022년 3분기)도 넘어섰다.

하지만 2023년 4분기 글로벌 폴더블폰 판매량은 3분기 대비 35% 감소한 360만 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게다가 삼성전자의 폴더블폰 점유율은 지난해 4분기 83%에서 올해 4분기 42%까지 떨어질 것으로 분석됐다. 중국 업체들의 폴더블폰 판매가 증가하기 시작한 동시에 기대보다 갤럭시Z플립5와 갤럭시Z폴드5의 출하량이 저조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가 주춤한 사이 중국 업체들의 약진은 두드러지고 있다.

올해 4분기 폴더블폰시장에서 화웨이는 21%, 아너는 19%의 점유율을 확보할 것으로 분석됐다. 

화웨이 폴더블폰 ‘메이트 X5’는 15%의 점유율로 삼성전자 갤럭시Z플립5에 이어 2위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아너 ‘매직 V2’는 12%의 점유율로 3위에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로스 영 DSCC 대표는 “올해 폴더블폰 시장은 화웨이가 입지를 회복했고 구글, 원플러스, 테크노와 같은 다수의 기업들이 신규 진입했다”며 “그러나 고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판매가 여전히 부진해 당초 폴더블폰 판매량 예측치보다는 15% 정도 적었다”고 분석했다.
 
삼성전자 폴더블폰 점유율 하락 가속화, 삼성디스플레이도 BOE에 추월되나
▲ 삼성전자가 2023년 8월에 출시한 갤럭시Z플립5(오른쪽)와 갤럭시Z폴드5.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는 4분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점유율 1위 자리를 중국 BOE에 넘겨줄 것으로 전망됐다.  

삼성전자의 폴더블폰 판매가 감소하면서 삼성디스플레이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수요도 줄어들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삼성디스플레이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점유율은 3분기 74%에서 4분기 30% 중반 대까지 떨어질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중국 BOE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점유율은 3분기 18%에서 4분기 40%대로 급등할 것으로 예상된다.

DSCC는 “(BOE 고객사인) 화웨이가 5G 칩 솔루션을 보유하게 된 만큼 폴더블 시장을 두 배로 확대해 처음으로 삼성전자보다 패널 조달 규모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비전옥스 또한 화웨이와 아너로부터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수주해 4분기 점유율이 18%까지 상승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나병현 기자

최신기사

금융당국 조직개편 날벼락, 증권사 IMA·발행어음 심사 밀릴까 노심초사
중국 빅테크도 미국 뒤따라 'AI 투자 경쟁', 글로벌 금융자본이 판 키운다
엔비디아 HBM4 성능 상향 요구에 마이크론 진땀, 삼성전자 내년 HBM4 입지 더 커진다
정부 요직 곳곳에 포진한 '이재명 동기', 사법연수원 18기 전성시대
크림 '가품 논란'에 플랫폼 신뢰 '흔들', 페이머스스튜디오 검수 역량 물음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펜타곤 출신 대거 영입, 손재일 차륜형 K9자주포 북미 진출 잰걸음
SK케미칼 자회사 지분 활용해 투자금 확충, 안재현 친환경 전환 속도 높인다
DL건설 대표 1년 만에 다시 현장·주택 전문가 선임, 여성찬 안전·수주 솜씨 발휘 특명
외국인 입소문 'K의료 뷰티', 파마리서치·클래시스 미용의료 성장 기대감 높다
카드업계 '최장 10일' 황금연휴 공략 시동, 여행·쇼핑 투트랙으로 고객 유혹
Cjournal

댓글 (3)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
야나두
저도 폴드3 가운데 지저분하게 갈라지는 현상으로 AS 3번이나 갔는데 60만원 넘는 액정을 교체하라며 다시는 접는거 안사기로 했어요. 삼성하고 인연은 여기까지야   (2023-12-08 07:48:11)
삼성사랑
폴드4 가지고 있다 가운데 푹 꺼져서 as. 딸내미 z플립 가운데 갈라져 먹통인데 떨어진 흔적있다고 35만원.. 앞으론 접어지는 폰은 안사기로 했다.   (2023-12-07 22:31:57)
김두봉
삼성은 점점 망해간다.
도시바.소니 처럼
삼성이 망해가는 이유.
노동탄합으로인해 노조가 없었고.
그로인해 자유롭게 노동자.관리자 등 경쟁에서 치면 사표받거나.명퇴를 유도해서 집에보낸덕에.
일자리 잃은 실업자는 중국의 회사에 영전되어 기술유출이 되었다.
스스로 발등에 도끼 찍었다.
현대. 두산등.다른 대기업은 노조설립 되어
자유롭게 퇴직시키거나.명퇴가 자유롭지 못한대신
기술유출과 고급 인력이 경쟁사로 가지안았고
기술유출도 되지안
   (2023-12-07 19:09: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