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전자·전기·정보통신

삼성전자, 디스플레이 관련 시스템반도체 점유율 30%로 17년째 1위

김디모데 기자 Timothy@businesspost.co.kr 2019-10-21 11:47:28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등에 탑재되는 디스플레이 관련 시스템반도체시장에서 17년 연속 1위를 지켰다.

21일 글로벌시장 조사업체 IHS마킷의 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2분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IC(DDI)시장에서 29.9%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삼성전자, 디스플레이 관련 시스템반도체 점유율 30%로 17년째 1위
▲ 삼성전자의 8K 디스플레이용 DDI S6CT93P. <삼성전자>

2002년부터 세계 디스플레이 드라이버IC시장에서 점유율 1위에 오른 뒤 17년째다. 매출액은 2018년 2분기보다 21.2% 증가한 5억6천만 달러였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IC는 시스템반도체의 일종으로 스마트폰과 TV, 태블릿PC 등의 화면을 구동하는 핵심부품이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세계 스마트폰 4대 중 1대에, 올레드(OLED)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스마트폰의 95%에 삼성전자 DDI가 탑재됐다.

삼성전자는 2019년 초 8K 해상도의 초고화질 대형 디스플레이에 최적화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IC 신제품 S6CT93P을 선보이는 등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IHS마킷에 따르면 2분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IC시장에서 대만 노바텍이 20.2%의 점유율로 삼성전자의 뒤를 이었다.

대만 하이맥스테크놀로지스(7.5%), 실리콘웍스(7.5%), 대만 시트로닉스(5.7%) 등이 톱5에 이름을 올려 한국과 대만이 이 분야에서 양강 구도를 구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 디스플레이 드라이버IC시장 매출은 2분기 18억76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7%, 직전 분기보다 15.0% 증가했다. D램과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반도체시장 성장세가 주춤한 것과 대비됐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

최신기사

DL이앤씨 주택 흥했으나 플랜트 난항, 박상신 수익성 회복세 연말 주춤 분위기
LG헬로비전 노사 본사 이전 두고 갈등 격화, 올해 임금협상 최대 변수 부각
SK디스커버리 이제 SK가스에 의존해야 하는데, 최창원 빠듯한 살림에 주주환원 딜레마
"'롤' 보다가 알았다", e스포츠로 잘파세대 공략 나서는 금융사들
글로벌 누비고 국내투자 늘리는 총수들, 대기업 그룹주 ETF 한번 담아볼까
엔씨소프트 아이온2 출시 뒤 주가 아직 몰라, 새벽 대기 3만 명이 남긴 기대감
제헌절 공휴일 복귀 18년 만에 급물살, '반헌법 윤석열'도 한몫해 얄궂다
효성 주력 계열사 호조로 배당여력 커져, 조현준 상속세 재원 마련 '청신호'
데워야 하나 vs 그냥 먹어야 하나, 누리꾼 1만 명이 벌인 편의점 삼각김밥 논쟁
미국·일본 '원전사고 트라우마' 극복 시도, 러시아·중국 맞서 원전 경쟁력 키워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