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석영 작가의 장편소설 ‘해질 무렵’이 유럽에서 최고의 아시아문학으로 선정됐다.
26일 프랑스 기메 박물관에 따르면 '기메 아시아문학상' 심사위원회는 25일 ‘2018 에밀 기메 아시아 문학상’ 시상식을 열고 ‘해질 무렵’을 수상작으로 발표했다.
소피 마카리우 기메 박물관장 등 심사위원회는 “황 작가의 작품이 주는 강력한 환기력, 묘사의 섬세함, 독서로 얻는 풍요로움에 매료됐다”며 “이 소설은 한국적 영혼을 깊이 이해하게 해준다”고 평가했다.
황 작가는 수상 소감문에서 “기메 아시아 문학상이 소설 ‘해질 무렵’에 수여된 것은 정말 큰 영광이고 기쁨”이라며 “무엇보다 아시아의 애호자였던 에밀 기메가 설립한 아시아 문화, 예술과 서구세계의 ‘만남의 장’ 기메 박물관에서 제정한 상이라는 점에서 그렇다”고 말했다.
기메 박물관은 프랑스의 국립 동양박물관이다. 1889년에 설립된 뒤 여러 아시아 미술품을 전시해온 세계에서 가장 큰 아시아 박물관이기도 하다.
기메 문학상은 프랑스 국립기관에서 외국 작품에 수여하는 문학상으로는 두 번째로 제정된 것이다. 지난해 아시아 문학을 프랑스에 더 알리기 위한 취지로 만들어졌다. 황 작가는 지난해 영국계 인도인 작가 레이나 다스굽타에 이어 두 번째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해질 무렵’은 60대 건축가 박민우와 젊은 연극연출가 정우희가 만나 인생을 회고하는 여정을 담았다.
박민우는 산동네의 어묵장수 아들로 태어나 일류대학을 졸업하고 외교관의 딸과 결혼한 뒤 승승장구한다. 정우희를 통해 젊은 시각으로 세상을 다시 돌아보게 되는데 인생을 반추하던 중 첫사랑 차순아의 기억을 되살리며 삶의 회한도 느낀다.
‘해질 무렵’은 2015년 문학동네에서 출판됐고 2017년 필립 피키에 출판사를 통해 프랑스에 소개됐다. 2016년 대산문화재단의 한국문학 번역·출판 지원을 받아 최미경 이화여대 통번역대학원 교수와 번역가 장 노엘 주테가 번역했다.
황 작가는 소감문에서 “저는 요즘 한국의 철도에 종사한 철도원 삼대를 그린 이야기를 쓰고 있다”며 “가까운 미래에 세계의 많은 예술가와 지식인들을 싣고 출발하게 될 ‘평화열차’라는 원대한 계획의 실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평화열차 프로젝트란 프랑스 파리에서 미국작가 폴 오스터, 터키작가 오르한 파무크 등 유명 작가들이 함께 타고 베를린, 옴스크, 평양을 거쳐 비무장지대를 넘고 서울에 도착하는 열차를 만드는 것이다. 크나큰 꿈이지만 최근의 남북경협과 철도 연결계획과 함께 한 걸음 더 다가온 셈이다.
황 작가는 한국 문학계에서 민중 문학가이자 사회운동가로 활동해왔다.
그는 1943년 만주서 태어나 서울 경복고를 다니다 4·19혁명 당시 자퇴했다. 하교하다가 친구가 총 맞아 죽는 사건을 겪은 뒤 고등학교 제도교육을 거부하게 됐다고 한다.
그 뒤 신문과 잡지를 읽어 바깥세상을 공부했고 '입석부근'으로 사상계 신인문학상을 받으며 등단했다. 검정고시를 봐 동국대 철학과에 진학했다.
유신 시절 공장 견습공과 '노가다꾼'으로 일하며 서민의 삶을 살았다. 1973년 발표된 대표작 '삼포 가는 길'은 이 시절 경험을 체화한 것으로 평가된다.
1976년부터 10여 년 동안 광주와 해남 등 전남 지역 일대에 살면서 광주민중항쟁을 겪고 또 목격했다. 1985년 5월 당시의 광주를 기록한 책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에 저자로 이름을 빌려줘 출간하도록 도왔다. 이 책의 실제 저자 전용호씨는 "황 선생은 작가 이전에 '움직이는 운동가'였기 때문에 책 저자로 이름을 빌려줄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이것이 빌미가 돼 황 작가는 전두환 정권의 탄압을 받았고 독일과 미국 망명길에 올랐다. 1989년 방북사건으로 이후 체포돼 1993~1998년 감옥살이를 하기도 했다.
1989년 만해문학상, 2000년 이산문학상, 2001년 대산문학상, 2008년 제3회 마크 오브 리스펙트상 등을 받았다.
대표작으로 삼포가는 길 외에 '장길산' '바리데기' '모랫말 아이들' '개밥바라기별' '오래된 정원' 등이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주연 기자]
26일 프랑스 기메 박물관에 따르면 '기메 아시아문학상' 심사위원회는 25일 ‘2018 에밀 기메 아시아 문학상’ 시상식을 열고 ‘해질 무렵’을 수상작으로 발표했다.
▲ 황석영 작가.
소피 마카리우 기메 박물관장 등 심사위원회는 “황 작가의 작품이 주는 강력한 환기력, 묘사의 섬세함, 독서로 얻는 풍요로움에 매료됐다”며 “이 소설은 한국적 영혼을 깊이 이해하게 해준다”고 평가했다.
황 작가는 수상 소감문에서 “기메 아시아 문학상이 소설 ‘해질 무렵’에 수여된 것은 정말 큰 영광이고 기쁨”이라며 “무엇보다 아시아의 애호자였던 에밀 기메가 설립한 아시아 문화, 예술과 서구세계의 ‘만남의 장’ 기메 박물관에서 제정한 상이라는 점에서 그렇다”고 말했다.
기메 박물관은 프랑스의 국립 동양박물관이다. 1889년에 설립된 뒤 여러 아시아 미술품을 전시해온 세계에서 가장 큰 아시아 박물관이기도 하다.
기메 문학상은 프랑스 국립기관에서 외국 작품에 수여하는 문학상으로는 두 번째로 제정된 것이다. 지난해 아시아 문학을 프랑스에 더 알리기 위한 취지로 만들어졌다. 황 작가는 지난해 영국계 인도인 작가 레이나 다스굽타에 이어 두 번째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해질 무렵’은 60대 건축가 박민우와 젊은 연극연출가 정우희가 만나 인생을 회고하는 여정을 담았다.
박민우는 산동네의 어묵장수 아들로 태어나 일류대학을 졸업하고 외교관의 딸과 결혼한 뒤 승승장구한다. 정우희를 통해 젊은 시각으로 세상을 다시 돌아보게 되는데 인생을 반추하던 중 첫사랑 차순아의 기억을 되살리며 삶의 회한도 느낀다.
‘해질 무렵’은 2015년 문학동네에서 출판됐고 2017년 필립 피키에 출판사를 통해 프랑스에 소개됐다. 2016년 대산문화재단의 한국문학 번역·출판 지원을 받아 최미경 이화여대 통번역대학원 교수와 번역가 장 노엘 주테가 번역했다.
황 작가는 소감문에서 “저는 요즘 한국의 철도에 종사한 철도원 삼대를 그린 이야기를 쓰고 있다”며 “가까운 미래에 세계의 많은 예술가와 지식인들을 싣고 출발하게 될 ‘평화열차’라는 원대한 계획의 실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평화열차 프로젝트란 프랑스 파리에서 미국작가 폴 오스터, 터키작가 오르한 파무크 등 유명 작가들이 함께 타고 베를린, 옴스크, 평양을 거쳐 비무장지대를 넘고 서울에 도착하는 열차를 만드는 것이다. 크나큰 꿈이지만 최근의 남북경협과 철도 연결계획과 함께 한 걸음 더 다가온 셈이다.
황 작가는 한국 문학계에서 민중 문학가이자 사회운동가로 활동해왔다.
그는 1943년 만주서 태어나 서울 경복고를 다니다 4·19혁명 당시 자퇴했다. 하교하다가 친구가 총 맞아 죽는 사건을 겪은 뒤 고등학교 제도교육을 거부하게 됐다고 한다.
그 뒤 신문과 잡지를 읽어 바깥세상을 공부했고 '입석부근'으로 사상계 신인문학상을 받으며 등단했다. 검정고시를 봐 동국대 철학과에 진학했다.
유신 시절 공장 견습공과 '노가다꾼'으로 일하며 서민의 삶을 살았다. 1973년 발표된 대표작 '삼포 가는 길'은 이 시절 경험을 체화한 것으로 평가된다.
1976년부터 10여 년 동안 광주와 해남 등 전남 지역 일대에 살면서 광주민중항쟁을 겪고 또 목격했다. 1985년 5월 당시의 광주를 기록한 책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에 저자로 이름을 빌려줘 출간하도록 도왔다. 이 책의 실제 저자 전용호씨는 "황 선생은 작가 이전에 '움직이는 운동가'였기 때문에 책 저자로 이름을 빌려줄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이것이 빌미가 돼 황 작가는 전두환 정권의 탄압을 받았고 독일과 미국 망명길에 올랐다. 1989년 방북사건으로 이후 체포돼 1993~1998년 감옥살이를 하기도 했다.
1989년 만해문학상, 2000년 이산문학상, 2001년 대산문학상, 2008년 제3회 마크 오브 리스펙트상 등을 받았다.
대표작으로 삼포가는 길 외에 '장길산' '바리데기' '모랫말 아이들' '개밥바라기별' '오래된 정원' 등이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주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