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블록체인 및 핀테크 전문기업 두나무가 NFT 컬렉션을 통해 환경 보전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로 했다.
두나무는 세계 토양의 날을 맞아 환경재단·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과 함께 생물다양성 보전 프로젝트인 '시드볼트 NFT 컬렉션'을 시작한다고 5일 밝혔다.
두나무는 시드볼트 NFT 컬렉션이 두나무 ESG 키워드인 '나무'의 한 종류로 2026년까지 3년에 걸쳐 진행되는 장기 프로젝트라고 설명했다.
두나무에 따르면 NFT(Non-Fungible Token, 대체불가능토큰)와 식물 모두 대체할 수 없다는 점에서 생물의 희소가치 인식을 높일 수 있다. 생명의 근원인 토양 보전의 중요성을 알리는 5일 '세계 토양의 날'에 맞춰 출시했다.
두나무는 미스터리 박스(Mystery Box) 드롭스에 참여하거나 25일까지 진행하는 사회관계망서비스 이벤트에 참여하는 방법으로 시드볼트 NFT 컬렉션에 지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2가지 방법을 통해 선발되면 NFT 에디션 넘버 코드명이 부여된다. 생물다양성 지식 테스트 등 다양한 미션을 수행하게 된다.
두나무는 미션에 성공한 전원에게 업사이클링 브랜드 '누깍'의 카드 지갑을 제공하기로 했다.
또한 미션 성공 여부에 따라 추첨을 통해 LG 스탠바이미(15명), LG 틔운 미니(25명), 국립세종수목원 입장권 및 도슨트 프로그램 참여 기회(12명, 인당 2매) 등 상품도 제공한다.
두나무는 이번 프로젝트 미션 성공률에 따라 실제 식물원 보존림 조성으로 이어가 온라인 환경 보전 활동을 현실로 연결할 계획을 세웠다. 조윤호 기자
두나무는 세계 토양의 날을 맞아 환경재단·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과 함께 생물다양성 보전 프로젝트인 '시드볼트 NFT 컬렉션'을 시작한다고 5일 밝혔다.

▲ 두나무가 생물다양성 보전 프로젝트인 시드볼트 NFT 컬렉션을 내놨다. 사진은 두나무가 운영하는 가상화폐 거래소 업비트 강남점. <연합뉴스>
두나무는 시드볼트 NFT 컬렉션이 두나무 ESG 키워드인 '나무'의 한 종류로 2026년까지 3년에 걸쳐 진행되는 장기 프로젝트라고 설명했다.
두나무에 따르면 NFT(Non-Fungible Token, 대체불가능토큰)와 식물 모두 대체할 수 없다는 점에서 생물의 희소가치 인식을 높일 수 있다. 생명의 근원인 토양 보전의 중요성을 알리는 5일 '세계 토양의 날'에 맞춰 출시했다.
두나무는 미스터리 박스(Mystery Box) 드롭스에 참여하거나 25일까지 진행하는 사회관계망서비스 이벤트에 참여하는 방법으로 시드볼트 NFT 컬렉션에 지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2가지 방법을 통해 선발되면 NFT 에디션 넘버 코드명이 부여된다. 생물다양성 지식 테스트 등 다양한 미션을 수행하게 된다.
두나무는 미션에 성공한 전원에게 업사이클링 브랜드 '누깍'의 카드 지갑을 제공하기로 했다.
또한 미션 성공 여부에 따라 추첨을 통해 LG 스탠바이미(15명), LG 틔운 미니(25명), 국립세종수목원 입장권 및 도슨트 프로그램 참여 기회(12명, 인당 2매) 등 상품도 제공한다.
두나무는 이번 프로젝트 미션 성공률에 따라 실제 식물원 보존림 조성으로 이어가 온라인 환경 보전 활동을 현실로 연결할 계획을 세웠다. 조윤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