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과경제

그린피스 글로벌 배터리 제조사 평가,
그린피스 글로벌 배터리 제조사 평가, "LG엔솔·CATL 외엔 감축 계획 부실"
국제 환경단체가 주요 글로벌 배터리 제조사들의 온실가스 감축 계획을 평가해 공개했다.그린피스 동아시아는 10일(현지시각) 세계 10대 배터리 제조사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평가한 결과 두 곳을 제외하면 감축 노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그린피스 동아시아는 이번 보고서를 위해 배터리 업체의 RE100(재생에너지 100%) 선언 여부와 공급망 내 온실가스 감축 계획 수립 내역 등을 살펴봤다.두 가지를 모두 이행한 업체는 한국 LG에너지솔루션, 중국 CATL, 일본 파나소닉 등 세 곳뿐인 것으로 파악됐다.에린 최 그린피스 동아시아 캠페이너는 '전기 사용과 원자재 조달은 배터리 제조에서 탄소 배출을 유발하는 두 가지 주요 요인이지만 대다수 배터리 업체들은 이 두 가지 가운데 하나 또는 둘 다에 목표를 설정하지 않고 있다'며 '이와 같은 감축 노력의 부재는 주요 배터리 제조사들의 탈탄소 의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게 한다'고 지적했다.삼성SDI, SK온 등 다른 한국 배터리 제조사들은 RE100에 가입하기는 했으나 공급망 내 감축 계획이 부재한 것으로 파악됐다.중국 비야디(BYD)와 EVE는 RE100에도 가입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공급망 내 감축 계획도 수립하지 않아 가장 문제가 큰 것으로 지적됐다.현재 이차전지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전주기를 보면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3분의 1이 제조, 생산 과정에서 나온다.배터리 제조는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지역 전력망의 탄소 집약도도 온실가스 배출량에 큰 영향을 미친다.최 캠페이너는 '배터리 제조사들은 재생에너지 도입 진행 상황을 정기적으로 보고하고 공급망 배출량 감축 및 재활용 소재 사용 목표를 설정해야 할 것'이라며 '재생에너지로 신속하게 전환함으로써 배터리 제조사는 제품의 탄소 발자국을 줄이고 저탄소 전환에서 역할을 공고히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손영호 기자

인기기사

BP 채용 공고
샘표식품 D-8
HRM(노무) 담당자
정규직/9년 이상
한화시스템 D-19
아키텍트(SWA) 담당자
5년 이상
샘표식품 D-8
대리점 영업 및 관리(수도권/강원권) 담당자
정규직/2~10년/학사 이상
SK바이오텍 D-16
품질보증원
정규직/1~14년/학사 이상
아모레퍼시픽 D-16
글로벌 HR(일본) 담당자
5년 이상/학사 이상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일로 39-34 서울숲더스페이스 12층 대표전화 : 1800-6522 팩스 : 070-4015-8658

편집국 : 070-4010-8512 사업본부 : 070-4010-7078

등록번호 : 서울 아 02897 제호 : 비즈니스포스트

등록일: 2013.11.13 발행·편집인 : 강석운 발행일자: 2013년 12월 2일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석운 ISSN : 2636-171X

Copyright ⓒ BUSINESSPOS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