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에너지

기후변화에 데이터센터 취약성 커진다, AI 인프라도 '기후 리스크' 피하지 못해
기후변화에 데이터센터 취약성 커진다, AI 인프라도 '기후 리스크' 피하지 못해
인공지능(AI) 산업 경쟁으로 세계 각지에 데이터센터가 빠르게 늘고 있는 가운데 데이터센터가 기후재난에 취약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데이터센터는 그동안 주로 온실가스를 내뿜게 하는 '원흉'으로 지목돼 왔다. 그런데 정작 데이터센터도 기후재난에 큰 피해를 입는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 것이다.'상호의존성이니셔티브(XDI)'는 9일 '2025 글로벌 데이터센터의 물리적 기후위험 및 적응 보고서'를 발간했다. XDI는 2007년에 설립된 연구 업체로 물리적 자산을 향한 기후 리스크를 분석하고 해결책을 제공한다.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기준 전 세계 데이터센터들 가운데 기후재난 고위험군으로 분류된 데이터센터 비중은 약 6.25%로 파악됐다. 중위험군 비중은 15.79%였다.여기서 고위험군이란 데이터센터가 태풍, 해안 침식, 하천 범람, 가뭄, 강풍 등 기후재난을 겪으면 발생할 최대 손실 예상액이 인프라 자산가의 1% 이상인 집단을 말한다.XDI는 '고위험군 집단은 극단적 기상 및 기후위험으로 인한 인프라 손실 가능성이 커서 보험료가 매우 비싸거나 향후 보험 가입이 불가능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중위험군은 손실 예상액이 0.2% 이상 1.0% 미만인 집단으로 중위험군 집단도 기후재난 관련 보험료가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칼 말론 XDI 창립자는 '글로벌 경제의 소리없는 엔진인 데이터센터의 물리적 구조가 점점 더 기후재난에 취약해지고 있다'며 '데이터센터 분야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운영자, 투자자, 정부는 더 이상 이를 수수방관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이번 보고서는 데이터센터를 다른 자산의 기후 리스크를 높이는 요인으로 본 그동안의 일반적 분석들과 달리 이례적으로 기후변화에 피해를 입는 주체로 봤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이를테면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올해 4월 내놓은 '에너지와 AI' 보고서에서 글로벌 데이터센터 산업이 2024년 기준 연간 약 1억8천만 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하게 만든다고 예측했다. 주요 온실가스 배출원이라 지적한 것이다. 이러한 온실가스 배출량은 AI산업 경쟁이 격화하면서 향후 10년 내로 약 80% 더 증가할 것이라고 바라봤다.동아시아 지역 데이터센터 위험도 평가를 시각적으로 나타낸 지도. 붉은색 점은 고위험군 데이터센터, 주황색은 중위험군 데이터센터, 하얀색은 저위험군 데이터센터를 나타낸다. <상호의존성이니셔티브>XDI는 기후변화가 진행될수록 재난 위협에 노출되는 데이터센터도 더 많아질 것으로 전망했다.탄소 고배출 시나리오 SSP5-8.5를 적용한 분석 결과, 2050년 기준 고위험군 데이터센터는 올해와 비교해 약 14% 증가할 것으로 파악됐다. 전 세계에 설치된 데이터센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7.13%로 늘게 된다.중위험군 데이터센터 비중은 기존 15.79%에서 약 24%로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세계 주요 지역별 분석 결과 동아시아는 기후재난 위협이 가장 빠르게 증가할 지역으로 파악됐다.2050년 기준 동아시아 지역 고위험군 데이터센터 비중은 약 18.25%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국가별로 따지면 중국 장쑤성이 고위험군 비중이 가장 높아질 곳으로 지목됐다. 2050년 기준 장쑤성에 설치된 데이터센터 25개 가운데 64%는 고위험군에 포함됐다.인도 우타르프라데시주(61.9%), 독일 함부르크(58.3%), 중국 상하이(49.0%), 러시아 모스크바(30.0%)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서울은 고위험군 비중이 6.1%가 될 것으로 집계돼 이번 보고서가 집계한 데이터센터 설치 지역 100곳 가운데 46번째로 재난 위협이 높아질 지역으로 분류됐다.말론 창립자는 '결정적인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 노력이 없다면 2050년에는 비상 상황을 대비한 보험료가 전 세계적으로 3~4배 가량 인상될 정도로 데이터센터의 물리적 위험도가 시장에서 높게 평가될 수 있다'며 '인프라 복원력을 향한 집중 투자, 물리적 적응, 탈탄소화 노력을 병행해야 데이터센터의 지속성을 보장하고 장기적으로 디지털 경제를 보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손영호 기자

인기기사

BP 채용 공고
한화이센셜 D-5
증착 담당자
정규직/5년 이상
CJ올리브네트웍스 D-20
솔루션 사업기획 및 개발 담당자
정규직/5년 이상
멀티캠퍼스 D-5
경영분야 집합교육 교수설계자
정규직/4~10년
대학내일 D-5
[오오비컴퍼니] 마케팅(AE)_비즈니스팀
정규직/7년 이상
아마존코리아 채용 시 마감
DCEO Facility Manager, ICN - DCEO
5년 이상/학사 이상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일로 39-34 서울숲더스페이스 12층 대표전화 : 1800-6522 팩스 : 070-4015-8658

편집국 : 070-4010-8512 사업본부 : 070-4010-7078

등록번호 : 서울 아 02897 제호 : 비즈니스포스트

등록일: 2013.11.13 발행·편집인 : 강석운 발행일자: 2013년 12월 2일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석운 ISSN : 2636-171X

Copyright ⓒ BUSINESSPOS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