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K기업은행이 판매한 디스커버리자산운용 및 라임자산운용 펀드 환매중단과 관련해 금융감독원의 강도 높은 제재를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윤종원 IBK기업은행장은 기업은행이 소비자 신뢰를 되찾을 수 있도록 사후 대응과 재발 방지에 힘쓰고 국책은행으로서 본연의 기능도 더욱 강화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다.
 
[오늘Who] IBK기업은행 곧 펀드 제재, 윤종원 국책은행 명예회복 절실

윤종원 IBK기업은행장.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기업은행이 28일 열리는 금융감독원 제재심의위에서 강도 높은 제재를 받을 가능성이 크다.

금감원이 디스커버리펀드 및 라임펀드 판매와 관련한 책임을 물어 당시 기업은행장을 맡았던 김도진 전 행장에 중징계를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말 열린 증권사 대상 금감원 제재심의위 사례를 볼 때 행장이 중징계를 받았다면 기업은행도 일부 업무정지와 같은 강력한 기관제재를 받을 가능성이 크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금감원에서 사전통보한 징계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다”며 말을 아꼈다.

기업은행은 우리은행과 신한은행 등 라임자산운용 사태로 금감원 제재심의위를 앞두고 있는 은행들 가운데 처음으로 제재를 받게 되는 만큼 본보기 역할을 하게 될 수 있다.

더구나 기업은행이 두 종류의 펀드 환매중단에 얽혀있고 국책은행으로서 더 엄격한 잣대 아래 놓일 수밖에 없는 만큼 중징계 결정에 대비해야만 한다.

윤종원 행장은 펀드상품 판매시기가 지난 뒤 기업은행장에 올라 직접적으로 제재대상이 아니지만 앞으로 금감원 징계에 따른 후속조치와 대응 전략을 책임져야 한다.

기업은행은 최근 내부통제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할 내부통제총괄부 조직을 신설했고 영업점 현장에서 고객관리 경험이 풍부한 김은희 부행장을 금융소비자보호그룹장에 선임했다.

윤 행장이 금감원 제재심의위를 앞두고 대규모 조직개편과 인사를 통해 내부통제체계 및 금융소비자 보호체계를 강화함으로써 유사한 사태 재발을 방지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인 셈이다.

금감원이 제재심의위에서 징계 수위를 결정하고 금융위원회가 이를 확정하는 과정에서 기업은행의 이런 노력을 반영해 제재가 다소 완화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기업은행이 디스커버리펀드 투자자들과 투자원금 선지급비율 등을 두고 완전한 사적 화해에 이르지 못한 점은 제재심의위에서 다소 불리한 요소가 될 수 있다.

기업은행은 지난해 디스커버리펀드 투자원금의 50%를 선지급하는 방안을 두고 대부분의 투자자들과 합의했다.

하지만 이를 받아들이지 않은 디스커버리펀드 투자자단체가 최근 기업은행 경영진과 만나 펀드 환매 중단에 따른 여러 사후대책을 논의했는데 서로 합의점을 찾지 못해 입장 차이를 확인하는 데 그쳤다.

이후 투자자단체는 금감원 앞에서 기업은행 등 펀드상품 판매사를 상대로 강력한 처벌을 내려야 한다고 주장하며 꾸준히 집회를 열고 있다.

금감원은 펀드 판매사들을 대상으로 금융회사와 투자자 사이 사적 화해를 권고하고 있는데 기업은행이 어느 정도 아쉬운 대목을 남기게 된 셈이다.

윤 행장은 결국 금감원 제재심의위 결과가 확정되는 대로 이에 따른 기업은행 실적 타격을 만회할 길을 찾고 소비자 신뢰도 회복하는 데 더욱 힘을 실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기업은행이 투자상품 판매금지 등 일부 영업정지 처분을 받는다면 실적에 타격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저금리 기조가 장기화되는 상황에서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을 돕기 위한 저금리대출 비중은 계속 늘어나고 있는데 투자상품을 통한 수수료 수익마저 거두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기업은행 비은행 자회사들도 아직 전체 실적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지 못하고 있는 만큼 윤 행장이 기업은행 실적 반등을 이끌어야 하는 과제가 더 무거워질 수 있다.

결국 윤 행장이 올해부터 비은행 자회사 육성에 더욱 힘을 싣거나 해외사업 확대에 속도를 내 수익원을 다변화하는 전략을 더 적극적으로 추진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기업은행이 디스커버리펀드와 라임펀드 손실사태에 연루된 것은 결국 국책은행 역할에서 벗어나 시중은행처럼 수수료이익을 노려 위험성이 높은 투자상품을 판매했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따라 윤 행장이 금감원 제재를 계기로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등을 돕는 국책은행 본연의 기능에 더욱 집중하는 체질 변화를 본격화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특히 정부가 최근 들어 한국판 뉴딜 성공을 위해 중소기업 및 신생기업에 모험자본 공급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는 만큼 기업은행이 이런 과정에서 역할을 키우게 될 수도 있다.

기업은행은 최근 2022년까지 모두 1조5천억 원을 한국판 뉴딜분야 신생기업 및 중소기업에 공급해 금융지원을 강화한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