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부산이 진에어에 통합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부산지역 상공업계에서는 지역을 기반으로 한 항공사가 사라질 수도 있다는 위기감이 감돌고 있다.

산업은행에 따르면 한진그룹은 아시나항공의 자회사인 에어부산과 에어서울을 단계적으로 통합해 대형 저비용항공사로 탈바꿈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진에어 에어부산 통합하면 부산에 본사 둬야 한다는 부산상공회의소

▲ 애어부산 항공기. <에어부산>


22일 부산 상공업계에서는 에어부산이 진에어에 통합되면 부산에 본사를 둔 지역항공사가 사라지게 돼 지역경제가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부산상공회의소는 동남권 항공교통의 중추를 맡고 있는 항공사가 없어지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바라본다.

부산상공회의소 관계자는 “부산지역 기업들은 향토기업으로서 지역경제를 뒷받침해온 저비용항공사인 에어부산이 통합될 수 있다는 말을 듣고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며 “부산상공회의소는 통합 저비용항공사가 탄생하면 부산지역에 본사를 둘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시민사회단체들도 통합 저비용항공사가 부산지역에 본사를 두고 중심축을 영남권에 두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안일규 부산경남미래정책 사무처장은 “부산지역 시민들과 기업 관계자 사이에서는 에어부산의 지분을 들고 있는 부산시가 지분을 늘려서라도 통합 항공사의 중심축이 영남권을 향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며 “영남지역이 배제되는 상태의 통합이 이뤄져서는 안 된다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로 에어부산이 어려움을 겪자 그동안 부산지역에서는 산업은행 등 채권단이 에어부산의 경영 정상화를 이룬 뒤 분리매각을 시도하면 부산시와 지역상공업계가 합작회사(JV)를 세워 단계적으로 인수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있었다.

에어부산이 부산지역을 거점으로 운영되면서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그만큼 컸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국토교통부도 이런 상황을 의식해 16일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합병과 관련한 발표에서 두 회사의 자회사를 통합하는 내용도 내놓으면서 지방공항 활성화도 함께 이루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통합 저비용항공사는 지방공항을 기반으로 세컨드 허브를 구축하고 통합 후 여유 항공기를 활용해 지방공항 노선을 확장할 것이다”고 말했다.

한진그룹이 통합 저비용항공사를 출범하면서 부산지역이 아닌 곳에 본사를 두게 된다면 지역사회의 반발은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진그룹 관계자는 통합 저비용항공사의 거점과 관련해 “아직 인수합병의 시작단계라 구체적 내용을 이야기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장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