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경기가 위축되면서 상가 공실이 늘고 임대료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1분기 상업용 부동산 임대동향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국의 상가 평균 공실률은 중대형이 평균 11.7%, 소규모가 5.6%로 2019년 4분기보다 각각 0.7%포인트, 0.1%포인트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감정원 "코로나19 경기위축으로 상가 공실 늘고 임대료도 하락"

▲ 한국감정원 로고.


한국감정원은 코로나19로 소비 심리가 둔화하고 매출이 감소해 상가 공실률이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다만 일부 상권이 일시 휴업하며 임차는 유지되고 있어 공실률 증가폭이 가파르지는 않았다고 덧붙였다.

3층 이상이거나 연면적이 330㎡를 초과하는 중대형 상가는 경북(17.4%), 전북(15.7%), 충북(15.5%) 지역의 공실률이 전국 평균보다 높았고 제주(6.3%), 서울(7.9%), 경기(9.8%) 등은 평균보다 낮았다.

경북은 구미(24.9%), 포항(21.5%) 등 상권이 지역산업 침체에 코로나19 사태까지 겹치며 중대형 상가 공실률이 2019년 4분기보다 1.4%포인트 올랐다.

코로나19 피해가 컸던 대구(15.2%)의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직전 분기보다 0.7%포인트 높아졌다.

서울은 압구정(14.7%), 장안동(17.1%) 등 상권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및 외국인 등 유동인구 감소로 폐업이 늘면서 직전 분기보다 1%포인트 올랐다. 

소규모 상가 공실률을 살피면 세종(10.6%), 전북(10.1%), 충남(7.3%) 등이 전국 평균(5.6%)보다 높았고 제주(2.1%), 경기(3.9%), 서울(4.3%) 등은 평균보다 낮았다.

전북은 군산(20.9%)과 정읍(12.7%) 등 상권에서 지역 산업 침체와 유동인구 감소, 상권 둔화로 폐업 상가가 늘었다.

전국의 오피스 평균 공실률은 11.1%로 2019년 4분기보다 0.1%포인트 높아졌다.

오피스는 주로 기업 등 업무관련 시설로 코로나19 영향을 크게 받지는 않았다.

수도권에서는 여전히 수요가 풍부해 코로나19 사태가 오피스 공실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지방은 기존 경기둔화 영향에 코로나19가 더해져 상대적으로 공실률이 높아진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의 오피스 공실률은 직전 분기보다 0.1%포인트 오른 8.6%를 보였다. 테헤란로(6.0%)와 강남대로(7.0%) 등 상권에서 공유 오피스 활용과 정보기술(IT)·스타트업 등 신규 임대 수요가 뒷받침되며 공실률 상승폭이 둔화됐다.

올해 1분기 임대료는 집합상가의 임대료가 ㎡당 2만7800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중대형 상가가 2만6700원, 소규모 상가가 2만 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4분기보다 각각 1.28%, 1.47%, 1.55% 하락한 수치다.

한국감정원은 이번 조사에서 시장의 상황과 모집단의 변화를 정확히 반영하기 위해 상권을 재설정하고 표본 수를 확대하는 등 표본 개편을 시행했다.

이에 따라 이번 조사는 전국 오피스·일반상가 9211동 및 집합상가 2만3천 호로 대상이 확대됐으며 감정원 소속 전문조사자 320여 명이 지역을 방문해 임대인·임차인의 면담 등을 통해 수행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지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