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위기에 자동차금융 파트너 KB국민카드와 KB캐피탈도 촉각

▲ SY오토캐피탈은 KB캐피탈과 쌍용자동차가 49 대 51 비율로 투자해 2015년 설립했다.

쌍용자동차가 부도를 맞을 가능성이 떠오르면서 KB캐피탈과 KB국민카드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KB캐피탈과 KB국민카드는 자동차금융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우는 과정에서 쌍용차와 KB캐피탈의 합작법인 ‘SY오토캐피탈’을 지렛대로 삼았던 만큼 앞으로 수익성과 외형 확대에 제동이 걸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KDB산업은행이 7월 만기를 맞는 쌍용차의 차입금 상환을 유예해주지 않으면 쌍용차는 부도를 맞을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쌍용차(51%)와 KB캐피탈(49%)을 주요주주로 둔 SY오토캐피탈의 앞날도 불투명하다. 

보통 합작회사의 주요주주 가운데 한 곳이 부도를 맞게 되면 사업성 여부를 판단한 뒤 청산 절차를 거쳐 지분율대로 잔존자산을 나누게 된다. 대주주 가운데 한 곳이 나머지 한 곳의 지분을 인수할 수도 있다. 

SY오토캐피탈은 KB캐피탈과 쌍용차가 49 대 51 비율로 투자해 2015년 말 설립한 쌍용차의 전속 캐피털회사다.

초기자본금은 200억 원으로 2016년 1월부터 본격적 영업을 시작했다. 당시 KB캐피탈은 안정적 시장을 확보했다는 데 의미를 부여했다.

현대캐피탈로 대표되는 전속 캐피털회사는 특정 자동차 제조사의 차량을 사는 고객에게 차량 구매와 할부 등에서 독점적 금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SY오토캐피탈은 KB캐피탈이 국내 자동차금융시장에서 상위권으로 발돋움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쌍용차에서 내놓은 티볼리가 인기를 끌면서 영업을 시작한 2016년 첫해 순이익 70억 원을 거두기도 했다.

특히 SY오토캐피탈은 KB캐피탈의 외형 성장에도 크게 기여했다. SY오토캐피탈의 설립자본금이 200억 원으로 캐피털회사에 적용되는 레버리지비율(총자산/총자본) 10배를 적용하면 자산규모가 최대 2천억 원이 한계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KB캐피탈은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매년 SY오토캐피탈의 영업자산(할부 및 대출채권)을 꾸준히 매입해왔다. KB캐피탈 자산은 2015년만 해도 5조5천억 원대였으나 2019년 11조 원대로 급증했다. KB캐피탈은 지난해만 해도 7748억 원의 영업자산을 SY오토캐피탈로부터 사들였다.

뒤늦게 자동차금융시장에 뛰어든 KB국민카드도 SY오토캐피탈 덕을 톡톡히 봤다. KB캐피탈이 자본 부족으로 소화하지 못한 영업자산을 KB국민카드가 인수하면서 자산을 대폭 늘렸기 때문이다.

KB국민카드의 자동차할부금융자산은 2016년 말 1880억 원에서 2019년 말 2조7667억 원으로 급증했다. 지난해에만 9527억 원(52.5%) 늘면서 전체 카드사 가운데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전체 자산에서 자동차할부금융자산이 차지하는 비중도 1년 사이 8.8%에서 12.1%로 3.3%포인트 확대됐다.

KB국민카드는 2018~2019년 2년 동안 SY오토캐피탈로부터 1조 원이 넘는 자산을 매입한 데 이어 올해 1분기에도 1337억5천만 원 규모의 자산을 사들였다. 자동차할부금융자산이 늘어날수록 KB국민카드의 이자이익이 지속적으로 늘어날 수 있는 구조다.

SY오토캐피탈의 앞날에 따라 KB캐피탈은 물론 KB국민카드의 수익성, 외형 확대에도 제동이 걸릴 수 있는 셈이다.

쌍용차는 현재 2천억 원의 기간산업안정기금을 신청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고 정부를 설득할 방안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밀 빠진 독에 물 붓기’라는 의견과 고용 안정을 위해서라도 지원을 해야한다는 의견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다만 KB캐피탈 관계자는 “쌍용차의 내수 판매가 최근 회복세를 보이는 등 SY오토캐피탈의 거취를 놓고는 크게 걱정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KB캐피탈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KB캐피탈은 SY오토캐피탈과 관련해 우선매수권 등의 절차에 따라 양도가 이뤄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쌍용차와의 사전 서면동의 없이 보유하고 있는 SY오토캐피탈의 주식을 매각, 양도, 이전할 수 없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